자율운항선박 정책위원회 첫 회의 개최…디지털 해운시대 본격 시동
해양수산부·산업통상자원부, 자율운항선박법 시행 후 정책·제도 논의 착수
해양수산부(장관 강도형)와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안덕근)는 '자율운항선박 개발 및 상용화 촉진에 관한 법률(이하 자율운항선박법)' 시행에 따라 구성된 '자율운항선박 정책위원회'의 제1차 회의를 4월 29일 부산 벡스코(BEXCO)에서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는 해양디지털을 특별의제로 다룬 제10차 아워오션 콘퍼런스(Our Ocean Conference)와 연계해 열렸으며, 글로벌 해운·조선 분야의 디지털 전환 흐름 속에서 한국의 자율운항선박 정책 방향을 논의하는 의미 있는 자리가 됐다.
자율운항선박은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 등 첨단 디지털 기술을 기반으로 운용되는 미래형 선박으로, 각국이 기술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국제해사기구(IMO)는 오는 2032년까지 자율운항선박 국제표준(MASS Code)을 제정할 계획이다.
정부는 해운·조선산업의 디지털 전략 수립을 목표로 지난 1월 '자율운항선박법'을 시행했으며, 이에 따라 산업부·해수부 공동위원장 체제 아래 정부위원 5명(기획재정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행정안전부, 중소벤처기업부, 해양경찰청 차관급)과 민간 전문가 6명으로 구성된 총 13명의 정책위원회를 출범시켰다.
제1차 회의에서는 민간위원 위촉장을 수여한 뒤, 정책위원회 운영방안, 자율운항선박 R&D 정책 방향, 법 시행에 따른 주요 업무 추진방향 등이 논의됐다.
강도형 해양수산부 장관은 "자율운항선박은 해양안전 강화와 탄소절감에 기여할 중요한 디지털 혁신 과제"라며, "IMO 국제표준 제정 과정에도 우리 기술과 경험이 반영되도록 적극 대응하고, 해운물류 체계 전환, 전문인력 양성, 제도 개편 등 중장기 전략을 산업통상자원부와 협력해 연내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자율운항선박은 AI 시대 고부가가치 선박시장의 핵심"이라며, "조선 3사, 기자재 기업,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자율운항선박 기술협의회를 가동해 전주기적 기술개발-실증-상용화를 지원하고, 연말까지 10년간의 기술개발 로드맵을 해수부와 함께 제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규제샌드박스 경험을 기반으로 「자율운항선박법」의 실증특례 제도를 적극 활용해 업계의 실증 결과를 정책에 반영하고, K-조선 민관원팀 체제로 신시장 선점에 나서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