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박 10척 중 1척은 부유물감김 사고… 자율적 예방·관리 중요성 부각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KOMSA, 이사장 김준석)은 최근 10년간(2015~2024년) 해양사고 통계를 분석한 결과, 선박이 해양 부유물에 감겨 운항 중단 또는 추진계 손상 등의 사고를 겪는 '부유물감김 사고'가 지속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공단이 해양수산부로부터 위탁받아 운영 중인 해양교통안전정보시스템(MTIS)을 활용한 분석에 따르면, 2015년 249척이었던 관련 사고 선박은 2024년 468척으로 88% 증가했다. 같은 기간 전체 해양사고 선박 3만여 척 중 3,437척(11.2%)이 부유물감김 사고를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고는 어선 등 중소형 선박에서 주로 발생했으나, 여객선 등 승객 다수 탑승 선박에서도 사례가 확인됐다. 공단은 “기상이 악화한 상황에서 사고가 발생하면 대형사고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다”며 사전 예방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와 함께 해양부유물 수거량도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해양환경공단 통계에 따르면 2015년 4,330톤이었던 해양부유물 수거량은 2023년 10,630톤으로 2.5배 증가했다. 공단은 이 같은 환경 변화가 부유물감김 사고 증가의 배경이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정부는 폐어구 방지를 위해 어구실명제와 어구보증금제 등을 운영하고 있다. 현재 통발어구에 적용 중인 어구보증금제는 2026년부터 자망·부표 등으로 확대될 예정이다. 해양수산부는 2024년 9월 ‘전주기 어구순환관리 대책’을 수립해 어구의 생산부터 회수·재활용까지 전 과정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공단은 사고 예방을 위해 MTIS 데이터를 기반으로 부유물감김 사고 다발 해역을 분석해 ‘디지털 부유물 현황도’ 및 종이 지도를 선박 종사자에게 제공하고 있다. 해당 데이터는 바다내비, GPS 플로터 등 항해장비와도 연동돼 활용되며, 공공데이터포털과 MTIS 오픈 API를 통해 민간에도 개방된다.
또한 전국 운항관리센터에서는 연안여객선터미널 인근 부유물 현황을 드론으로 촬영해 여객선사와 실시간 공유하고 있다. 최근 목포운항관리센터는 영산강 방류에 따른 부유물 유입 상황을 드론으로 촬영해 여객선 선장에게 즉시 전달하기도 했다.
김준석 이사장은 “폐어구로 인한 해양오염과 부유물감김 사고는 결국 어업인에게 피해로 되돌아간다”며 “공단은 자율적 수거 문화와 안전관리 체계가 현장에 정착될 수 있도록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