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는 올해 45억원을 들여 인공어초어장 250ha의 시설을 완료했다고 14일 밝혔다.
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의 조사결과에 의하면 “어업생산력이 미 시설해역에 비해 약 2.6배 높은 것으로 나타나 어업인 소득증대에 크게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인공어초는 해저에 인공바위를 만들어 해조류가 자라게 하여 자연적인 먹이공급과 은신처를 제공하는 것으로 어·패류가 살아가는데 필요한 환경을 갖추어 주는 것으로, 경기도는 이번 인공어초 조성으로 불법어업으로 인한 마구잡이 어업을 방지하고 자망, 통발 등 많은 물고기를 잡는 어구의 사용을 적절히 제한하여 연안어장의 어족자원을 보호하고 증강시킬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경기도는 간척·매립에 따른 갯벌이 상실되고 육상에서 발생한 오염물질의 유입량이 날로 증가하고 해양환경이 날로 악화되어 어업인들이 갈수록 삶의 터전을 잃어 의욕을 상실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있고, 젊은이들이 어촌을 떠나려는 추세가 있어 이를 극복하고 살기 좋은 어촌으로 만들기 위해 인공어초를 조성했으며, 경기도는 해양환경 변화로 인해 감소하고 있는 수산자원을 회복하기 위해 올해 45억원을 투자해 인공어초어장 250ha의 시설을 지난 10월말에 완료했다.
이밖에 경기도는 34억원을 들여 우럭, 넙치, 볼락 등 3개종의 우량 어린물고기 631만 마리를 인공어초시설수역에 산란해 서식장으로서의 효과를 극대화시키고 있다.
경기도 관계자는 “지난해부터 인공어초 시설지 1272ha를 보호수면으로 지정해 방류 후 어린물고기 채포금지와 인공어초보호 등 사후관리를 철저히 해서 바다 살리기와 자원보호에 앞장선 결과 매년 10%의 어획량을 증대시켰다”면서 “어로어업에 종사하는 어업인의 평균 연소득을 나날이 증대시켜 떠나는 어촌이 아닌 돌아오는 어촌으로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