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대통령 3 1절 韓 日 미래 50년 동반자로 새 역사 써나가야
北 남북대화에 더이상 외면 안돼 광복70년 화합 전기 마련을
北 남북대화에 더이상 외면 안돼 광복70년 화합 전기 마련을
박근혜 대통령(사진)은 1일 “일본은 역사적 진실을 인정하고 한국과 함께 미래 50년 동반자로 새역사를 써나가자”고 말했다. 또 “북한은 더 이상 남북대화를 외면해서는 안 된다”며 “광복 70년을 함께 경축하면서 민족화합과 동질성 회복의 전기를 마련하길 바란다”고 촉구했다.박 대통령은 1일 서울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제96주년 3·1절 기념식에 참석해 기념사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아울러 “과거 독일과 프랑스가 갈등과 반목을 극복하고 새로운 유럽건설의 주역이 될 수 있었던 것과 같이, (한국과 일본도) 이제는 보다 성숙한 미래 50년의 동반자가 돼 새 역사를 함께 써나가야 할 때”라고 언급했다.
이어 “정부는 올바른 역사인식에 기초한 21세기 한일 신협력시대를 열어가고자 노력해 왔다”며 “그러나 지리적 이웃국가 임에도 불구하고 과거사를 둘러싼 갈등 때문에 안타깝게도 마음의 거리를 좁히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박 대통령은 특히 “일본군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의 인권문제는 반드시 풀고 가야할 역사적 과제”라고 강조하며 “이제 할머니들의 평균 연령이 90세에 가까워서 그 분들의 명예를 회복시켜드릴 수 있는 시간도 얼마 남지 않았다”고 일본의 시급한 태도 표명을 촉구했다.
아울러 아베 신조 총리의 과거사 왜곡 시도에 반대하는 집단성명을 주도했던 알렉시스 더든 미 코네티컷대 교수의 발언을 인용하면서 “일본 정부의 교과서 왜곡 시도가 계속되는 것도 이웃관계에 상처를 주는 일”이라고 훈계했다. 박 대통령은 이어 남북관계와 관련해 “북한은 더 이상 남북대화를 외면해서는 안될 것”이라며 “올해 광복 70년을 경축하면서 이를 계기로 민족화합과 동질성 회복의 전기를 마련하는데 나서주기 바란다”고 밝혔다.
특히 “무엇보다 남북 이산가족의 절절한 염원을 풀어드리는 것이 시급한 일”라며 “이산가족 생사확인 및 상봉정례화, 서신교환 등 이산의 아픔을 치유하기 위한 협의를 조속히 갖기 바란다”고 덧붙였다. 이어 올해 남북한 간 의미있는 스포츠, 문화, 예술분야 교류와 민생차원의 협력 확대, 민족문화 보전사업의 확대와 역사 공동연구 착수 등을 제안하면서 “민족동질성 회복에 기여하는 순수민간교류를 적극 장려할 것”라고 강조했다.
또한 “남북한 철도운행 재개를 위한 철도복원사업 등 이행가능한 남북공동 프로젝트를 협의해 추진하는 것도 남북 모두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사전준비의 일환으로 우선 남북철도 남측구간을 하나씩 복구하고 연결하는 사업부터 시작할 것”이라고 밝히고 공무원연금개혁과 4개 구조개혁 등 국내 현안에 대해서도 박 대통령은 “혁신과 구조개혁 과정은 3.1운동 당시 그랬던 것처럼 국민 모두의 일치된 마음과 단합된 힘이 수반돼야 하는 어렵고 힘든 과정”이라며 “30년 후 후손들이 경제대국, 통일한국 국민으로 광복 100주년을 맞이할 수 있도록 모든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또한 이날 오후 출발하는 올해 첫 해외출장인 중동 4개국 순방과 관련해 “제2 중동붐으로 제2의 경제부흥을 위한 토대를 마련할 수 있도록 총력을 다해 비즈니스 외교를 펼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날 기념식에는 독립유공자 및 유족, 광복회원, 정부인사, 주한외교단, 각계 및 시민대표 3000명이 참석했으며, 박 대통령 기념사 동안 모두 24차례의 박수가 터져 나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