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수산과학원 남해수산연구소는 남해안 연안역 생태계 기반 자원관리 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연안역에서 남획, 불법어업 단속 등으로 인한 자원 변화상태를 2005년부터 올 3월까지 여자만을 대상으로 서식생물 등에 대한 조사를 마쳤다.
17일 이번 조사결과에 따르면 남해안 여자만의 2005년 3월 총 출현 종은 67종이었으나, 올 3월에는 46종으로 2005년 대비 약 31% 감소했다. 연도별 우점종 변화를 살펴보면, 2005년에는 갑각류(마루자주새우:822kg/km2)·어류(풀반댕이:197kg/km2)로 나타나 전체어획물의 약 60%, 2006년에는 갑각류(마루자주새우:492kg/km2,피뿔고둥:137kg/km2)·어류(주꾸미:104kg/km2)로 전체어획물의 70%, 올해에는 갑각류(갯가재:750kg/km2)·어류(풀반댕이:633kg/km2, 참서대:418kg/km2) 등이 전체어획물의 약 50%를 차지하여 어류의 비율이 다소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해적생물로 알려진 불가사리의 출현량은 2005년에는 어획물의 40%에서 60%였으나 올해는 60%에서 70%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고, 어획물과 함께 올라온 해상투기 쓰레기는 주로 폐통발과 일반 생활쓰레기 등으로 여자만 생태계를 황폐화 시키는 것으로 분석됐다. 또, 고급어종의 자원수준은 매우 낮은 상태이며, 영양단계가 낮은 새우류 등의 갑각류가 대부분인 것으로 나타났고, 불법어업이 근절되긴 했으나 그동안의 남획, 불법어업 및 해상투기(쓰레기) 등으로 인해 여자만 생태계는 매우 불안정한 상황인 것으로 판단했다.
남해수산연구소는 지속적인 조사를 통해 어획물의 영양단계 및 생태계 구조 파악에 대한 연구를 계속 수행할 것이며, 그 결과를 토대로 해양환경과의 관계 분석 등 여자만 생태계의 자원관리방안을 수립 및 제시할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