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수산과학원 남부내수면연구소는 4월 17일 내수면 자율관리어업을 실시하고 있는 창원 시 동읍어촌계를 찾아 자율관리어업의 지속적 추진 방안 및 어촌계와의 상시 협력방안에 대한 좌담회를 개최했다.
동읍어촌계는 1970년대 새마을어업계로 출발하였으며, 주남저수지(면적 85㏊), 산남 저수지(면적 75㏊)를 어업권으로 하여, 창원 시 동읍소재 용산리, 월잠리, 석산리, 금산리 어업인 22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연간 어획량은 80톤이며, 주로 토종 붕어, 잉어 등을 잡아 소득원으로 하고 있다.
이번 사랑방 좌담회에서 자율관리어업의 지속적 추진을 위하여 조업어구는 4절망 이상을 사용하여 25㎝이하의 어류는 포획하지 않고, 조업시기는 봄철 산란기에는 조업금지를, 여름에서 가을에는 어류의 주간활동이 많으므로 오후 5시 이후의 저녁시간대에 그리고 겨울철에는 주간 수온이 상승하는 오전시간대에 조업하여 남획을 방지하는 방안 등이 제시됐다.
또 토속어종의 자원증강을 위하여 외래어종인 배스, 불루길 퇴치를 위해 산란기를 전후하여 주 1회 어촌계 공동으로 포획작업을 실시하고, 토속어종의 종묘방류는 10㎝이상의 가급적 큰 종묘를 방류하여 쉽사리 외래어종에 포식되지 않고 생존율을 높일 수 있도록 추진하기로 했다.
동읍어촌계와 연구소와의 상시협력 방안으로서는 금년도에 처음으로 실시하는 내수면창업기술지원센터에 어촌계장 및 총무가 잉어류 실내 인공종묘 대량생산 기술습득을 위하여 입주를 필두로 연차적으로 어촌계원들이 입주하여 우량종묘 생산기술을 습득하고, 어촌계가 자체적으로 시설확보 하고자 하는 종묘생산장에 대한 설계 등 시설검토 및 기술지원 그리고 포획어류의 식품안전성 유지를 위하여 정기적으로 질병모니터링을 실시하기로 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