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생산량도 22만3025톤으로 전년대비 27.3% 증가
2006년 5월에는 병어와 전갱이,청어 등이 많이 잡힌 것으로 나타났다.
해양부는 30일 ‘2006년도 5월중 어업생산통계’에서 5월 전체 어업생산량은 22만3025톤으로 2005년 5월보다 27.3%가 늘었다고 전했다.
어업형태별로는 ▲해면어업 5만9029톤 ▲양식어업 9만3025톤 ▲원양어업 6만9163톤 ▲내수면어업 1808톤으로 집계됐다.
일반해면어업은 2005년 5월보다 생산량이 12.1% 감소했으나, 병어(2764톤), 전갱이 (2235톤), 청어(2103톤), 꽃게(1248톤)는 각각 46.0%, 65.2%, 55.4%, 220.8% 증가했다.
병어의 어획량이 크게 증가한 것은 남해와 서부연안지역의 적정수온이 유지되면서 어군이 연안지역으로 유입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또 꽃게는 2005년 산란성장시기에 수온 상승에 따라 산란 성장률이 높아 가입율 증가로 많이 잡힌 것으로 분석된다.
반면 멸치와 갈치의 어획량은 8897톤, 1783톤으로 각각 43.5%, 13.8% 감소했다.
양식어업 생산량 역시 조피볼락(52.9%), 넙치류(10.5%)의 주도로 63.4% 늘었고, 대서양의 오징어류(398.5%), 인도양의 눈다랑어(68.1%), 남빙양의 새우(19.0%) 어획량 호조로 원양어업도 36.6% 증가했다.
2006년 5월 어업생산통계 조사결과
□ 총 괄
○ 당월
(단위 : M/T, 억원, %)
|
구 분 |
5년평균 (2001~2005) |
2005.5 |
2006.5 |
증감율 | |
|
2006.5/5년평균 |
2006.5/2005.5 | ||||
|
생 산 량 |
13만9946 |
17만5254 |
22만3025 |
59.4 |
27.3 |
|
생산금액 |
3232 |
3931 |
4253 |
31.6 |
8.2 |
o 2006년 5월중 어업생산량은 22만3025M/T으로 2005년 동월(175,254M/T)대비 27.3% 증가(5년평균 대비 59.4% 증가)
- 어업별로는 2005년 동월대비 천해양식어업 69.3%,원양어업 36.6% 증가한 반면, 일반해면어업 12.1%, 내수면어업 26.9% 감소
o 2006년 5월중 어업생산금액은 4253억원으로 2005년 동월(3,931억원) 대비 8.2% 증가(5년평균 대비 31.6% 증가)

○ 누계(1~5월)
(단위 : 천M/T, 억원, %)
|
구 분 |
5년평균 (2001~2005) |
2005.1~5월 누계 |
2006.1~5월 누계 |
증감율 | |
|
2006.누계/5년평균 |
2006.누계/2005.누계 | ||||
|
생 산 량 |
1163 |
1227 |
1532 |
31.7 |
24.9 |
|
생산금액 |
17만503 |
19만451 |
20만369 |
16.4 |
4.7 |
o 2006년 누계 어업생산량은 1532천M/T으로 2005년 동월(1,227천M/T)대비 24.9% 증가(5년평균 대비 31.7% 증가)
- 어업별로는 2005년 동월대비 일반해면어업 0.9%, 천해양식어업 31.5%, 원양어업 45.1% 증가한 반면, 내수면어업 14.6% 감소
o 2006년 누계 어업생산금액은 20만369억원으로 2005년 동월(19,451억원) 대비 4.7% 증가(5년평균 대비 16.4% 증가)

□ 어업별 동향
(단위 : M/T, %)
|
구 분 |
5년평균 (2001~2005) |
2005.5 |
2006.5 |
증감율 | |
|
2006.5/5년평균 |
2006.5/2005.5 | ||||
|
합 계 |
139만946 |
175만254 |
223만025 |
59.4 |
27.3 |
|
일반해면 |
58만612 |
67만182 |
59만029 |
0.7 |
-12.1 |
|
천해양식 |
31만790 |
54만957 |
93만025 |
192.6 |
69.3 |
|
원 양 |
47만559 |
50마641 |
69만163 |
54.4 |
36.6 |
|
내 수 면 |
1986 |
2474 |
1808 |
-9.0 |
-26.9 |
o 일반해면 : 5월중 59만029M/T 생산, 2005년 동월(67만182M/T) 대비 12.1% 감소
- 갑각류 14.2%, 패류 4.6% 증가한 반면, 어류 16.3%, 연체동물 12.5%, 기타 수산동물 10.7% 해조류 43.4% 감소
o 천해양식 : 5월중 93만025M/T 생산, 2005년 동월(54만957M/T) 대비 69.3% 증가
- 어류 10.6%, 패류 32.6%, 해조류 113.4% 증가한 반면, 기타수산동물 16.0% 감소
o 원 양 : 5월중 69만163M/T 생산, 2005년 동월(50만641M/T) 대비 36.6% 증가
- 대서양 218.8%, 남빙양 19.0% 증가한 반면, 태평양 9.4%, 인도양 29.9% 감소
o 내 수 면 : 5월중 1808M/T 생산, 2005년 동월(2,474M/T) 대비 26.9% 감소
- 어로어업 10.5%, 양식어업 33.1% 감소

□ 어업별 생산량 증,감 원인분석
o 일반해면
- 5월중 59만029M/T 생산, 2005년 동월(67만182M/T) 대비 12.1% 감소
, 갑각류 14.2%, 패류 4.6% 증가한 반면, 어류 16.3%, 연체동물 12.5%, 기타수산동물 10.7% 해조류 43.4% 감소
▶ 어류 : 5월중 38만459M/T 생산, 2005년 동월(45만957M/T) 대비 16.3% 감소
- 고등어류는 월동장인 동중국해역으로부터 북상하는 난류세력을 따라 제주도 주변과 남방해역에 어군이 형성되어 29.3%, 참조기는 서해남부 남해서부 해역에 어군이 형성되었으나 대부분 소형어의 어군으로 1.6%, 전쟁이 65.2%, 청어 55.4%, 병어류 46.0%, 강달이류 124.9%, 넙치류 15.8%, 대구류 62.0%, 임연수어 52.9%, 노래미류 10.4%, 민어 321.7%, 도루묵 51.9% 복어류 110.3% 증가
- 멸치류는 남해동부 연안측 해역에서부터 동해남부 연안측 해역으로 접안하는 어군의 내유량 부진으로 43.5%, 갈치는 제주도와 흑산도간 해역의 주 조업 어장으로 낮은 자원밀도의 어획량 감소로 13.8%, 근해통발어업 및 근해안강망어업의 조업부진으로 붕장어 5.4%, 아귀 2.6%, 삼치류 5.9%, 까나리 17.1%, 양태 30.2%, 가오리류 3.7%, 조피볼락 7.0%, 꽁치 87.1%, 뱅어류 93.5%, 농어 22.0%, 꼼치 29.7%, 참돔 41.2%, 학공치 85.0% 감소
▶ 갑각류 : 5월중 7780M/T 생산, 2005년 동월(6813M/T) 대비 14.2% 증가
- 서해안(인천, 충남)지역의 주요품종인 꽃게는 2005년 산란성장 시기에 수온이 높아 산란성장률이 높아 가입율이 증가로 220.8%,동해안(경북, 강원)지역의 주요품종인 붉은대게는 1.3%, 기타게 4.6%, 꽃새우 219.9%, 기타갑각류 8.4%, 보리새우 180.0% 증가
- 서해안(전남, 전북, 충남)지역의 젓새우 59.6%, 중하 6.1%, 대하 54.3%, 동해안(울산, 강원, 경북)지역의 대게 22.5%, 닭새우 72.4% 감소
▶ 패 류 : 5월중 6032M/T 생산, 2005년 동월(5764M/T) 대비 4.6% 증가
- 서해안(충남, 전북, 인천)지역에서 주로 생산된 동죽 68.6%, 키조개 70.3%, 동,남해안(강원, 경북, 전남)지역의 골뱅이 36.4%, 꼬막류 137.2% 증가
- 서,남해안(충남, 전남, 인천)지역의 바지락은 21.3%, 소라고둥 29.2%, 굴 4.4%, 가무락 26.6%, 맛류 81.6%, 남해안(경남)지역의 개조개 64.4%, 새조개87.8% 감소
▶ 연체동물 : 5월중 4784M/T 생산, 2005년 동월(5470M/T) 대비 12.5% 감소
- 서,남해안(전남, 충남, 전북)지역의 갑오징어류 124.2%, 기타연체동물 100.0% 증가
- 오징어는 동해남부와 남해 동부해역에서 월동을 위한 남하이동에 따른 부분적인 어장 형성으로 24.4%, 문어 10.9%, 서,남해안(전남, 경남)지역의 낙지는 8.4%, 주꾸미 62.4%, 꼴뚜기 23.9% 감소

o 천해양식
- 5월중 93만025M/T 생산, 2005년 동월(54만957M/T)대비 69.3% 증가
어류 10.6%, 패류 32.6%, 해조류 113.4% 증가한 반면, 기타수산동물 16.0% 감소
▶ 어 류 : 5월중 8474M/T 생산, 2005년 동월(7662M/T) 대비 10.6% 증가
- 서,남해안(경남, 전남, 충남)지역의 치어 입식 등 어장관리를 위한 조기출하로 조피볼락 52.9%, 넙치 10.5%, 기타볼락 226.9%, 복어류 36.0%, 증가
- 출하물량 부족으로 참돔 31.2%, 숭어류 7.0%, 감성돔 22.5%, 농어 84.0%, 방어 50.0%, 능성어 68.8% 감소
▶ 패 류 : 5월중 22만251M/T 생산, 2005년 동월(16만781M/T) 대비 32.6% 증가
- 남해안(경남, 전남)지역의 주요품종인 굴은 전월에 이어 소비량 증가와 가격상승에 따른 양식물량 증가로 56.3%, 꼬막류 3073.9%, 전복류 64.2%, 서해안(충남)지역의 가무락 230.0%, 백합류 57.1%, 동해안지역의 가리비 100.0% 증가
- 서해안(충남, 전북)지역에서 주로 생산된 바지락은 채취물량 감소와 값싼 수입수산물 증가로 9.8%, 남해안(경남)지역의 홍합류 24.6%, 피조개 51.6%, 키조개 74.8%, 새조개 100.0% 감소
▶ 해조류 : 5월중 60만474M/T 생산, 2005년 동월(28만339M/T) 대비 113.4% 증가
- 남해안(전남)지역에서 주로 생산된 다시마류는 전복 먹이용 채취물량 증가로 124.4%, 김은 적정수온 지속과 작황호조로 185.7% 증가
- 남해안(전남, 부산)지역의 주로 생산된 미역은 전월 조기채취로 21.4%, 청각 100.0% 감소

o 원 양
- 5월중 69만163M/T 생산, 2005년 동월(50만641M/T) 대비 36.6% 증가
(대서양 218.8%, 남빙양 19.0% 증가한 반면, 태평양 9.4%, 인도양 29.9)
▶ 태평양해역 : 갈치 37.5%, 눈다랑어 4.2%, 황다랑어 102.1%, 기타돔 63.1%, 새꼬리민태 86.3%, 붉은메기 31.3% 증가한 반면, 가오리류 1.8%, 꽁치 100.0%, 가다랑어 3.0%, 날개다랑어 19.3%, 기타다랑어 18.2%, 대구 31.5%, 민어류 36.3%, 복어류 81.1%, 황새치 27.1%, 흑새치 20.9%, 조기류 63.6%, 오징어류 24.2% 감소
▶ 대서양해역 : 눈다랑어 54.5%, 메로(이빨고기) 56.4%, 민어류 178.6%, 서대류 19.9%, 오징어류 398.5% 증가한 반면, 가오리류 58.2%, 갈치 70.6%, 능성어 89.5%, 민대구 90.6%, 기타돔 45.6%, 새꼬리민태 91.3%, 붉은메기 62.8%, 기타어류 40.7% 감소
▶ 인도양해역 : 눈다랑어 68.1%, 기타다랑어 22.2% 증가한 반면, 갈치 52.6%, 황다다랑어 6.7%, 기타돔 51.9%, 민어류 42.9%, 황새치 71.0%, 기타새치 33.3%, 기타어류 57.8%, 갑오징어류 34.7%, 오징어류 73.4% 감소
▶ 남빙양해역 : 남빙양새우 19.0% 증가한 반면, 기타어류 100.0% 감소

o 내수면
- 5월중 1808M/T 생산, 2005년 동월(2474M/T) 대비 26.9% 감소
(어로어업 10.5%, 양식어업 33.1% 감소)
▶ 메기 0.8%, 숭어류 25.3%, 금붕어 40.0%, 피라미 66.7%, 산천어 50.0%, 새우류 100.0%, 우렁이 850.0%, 기타패류 5.5% 증가
▶ 정부수매 생산물량 부족으로 송어류 35.4%, 향어 72.5%, 뱀장어 20.5%, 미꾸라지 75.5%, 잉어 43.3%, 붕어 33.6%, 민물돔 8.0%, 동자개 22.2%, 쏘가리 25.0%, 비단잉어 33.3%, 게류 100.0%, 재첩 70.5%, 자라 72.7% 감소

□ 종류별 생산동향(일반해면,천해양식,내수면,원양어업을 합한 수치)
(단위:M/T, %)
|
구 분 |
5년평균 (2001~2005) |
2005.5 |
2006.5 |
증감율 | |
|
2006.5/5년평균 |
2006.5/2005.5 | ||||
|
합 계 |
139만946 |
175만254 |
223만025 |
59.4 |
27.3 |
|
어 류 |
77만515 |
90만661 |
81만748 |
5.5 |
-9.8 |
|
갑 각 류 |
10만215 |
14만028 |
16만356 |
60.1 |
16.6 |
|
패 류 |
20만423 |
22만664 |
28만415 |
39.1 |
25.4 |
|
연체동물 |
17만276 |
14만198 |
32만229 |
86.6 |
127.0 |
|
기타수산동식물 |
2638 |
2720 |
2306 |
-12.6 |
-15.2 |
|
해 조 류 |
11만880 |
30만983 |
61만971 |
421.6 |
100.0 |
o 어 류 : 5월 생산량은 81만748M/T으로 2005년 동월(90,661M/T) 대비 9.8% 감소
o 갑 각 류 : 5월 생산량은 16만356M/T으로 2005년 동월(14,028M/T) 대비 16.6% 증가
o 패 류 : 5월 생산량은 28만415M/T으로 2005년 동월(22,664M/T) 대비 25.4% 증가
o 연체동물 : 5월 생산량은 32만229M/T으로 2005년 동월(14,198M/T) 대비 127.0% 증가
o 기 타 : 5월 생산량은 2306M/T으로 2005년 동월(2,720M/T) 대비 15.2% 감소
o 해 조 류 : 5월 생산량은 61만971M/T으로 2005년 동월(30,983M/T) 대비 100.0% 증가

□ 주요품종별 생산량 동향(원양어업,내수면어업 부문은 포함되지 않음)
o어 류
(단위:M/T, %)
|
구 분 |
5년평균 (2001~2005) |
2005.5 |
2006.5 |
증감율 | |
|
2006.5/5년평균 |
2006.5/2005.5 | ||||
|
멸 치 |
11만989 |
15만758 |
8897 |
-25.7 |
-43.5 |
|
고 등 어 |
2718 |
1937 |
2471 |
-9.1 |
27.6 |
|
갈 치 |
1932 |
2069 |
1783 |
-7.7 |
-13.8 |
|
가자미류 |
1486 |
1954 |
2361 |
58.9 |
20.8 |
|
넙 치 |
2820 |
3604 |
4004 |
42.0 |
11.1 |
|
조피볼락 |
1880 |
2823 |
4127 |
119.5 |
46.2 |
- 일반해면,천해양식어업 5월중 152만054M/T 생산, 2005년 동월 (122만139M/T) 대비 24.5% 증가
▶ 5월중 어류 46만933M/T 생산, 2005년 동월(53만619M/T) 대비 12.5% 감소
병어류 46.0%, 청어 55.4%, 강달이류 124.9%, 노래미류 10.4%, 대구류 62.0%, 임연수어 52.9%, 옥돔 5.6%, 도루묵 51.9%, 기타조기 1.6%, 복어류 75.9%, 전갱이류 62.8%, 강달이류 124.9%, 민어 321.7%, 참조기 21.6%, 기타볼락 14.4%, 서대류 3.0% 증가
참돔 32.7%, 숭어류 0.2%, 감성돔 16.0%, 농어 75.2%, 능성어 75.0%, 쥐치류 58.4%, 아귀 2.6%, 붕장어 5.4%, 기타돔류 24.8%, 삼치 5.9%, 까나리 17.1%, 양태 30.2%, 가오리류 3.7%, 꽁치 87.1%, 눈볼대 18.5%, 뱅어류 93.5%, 반지 21.8%, 꼼치 29.7%, 삼세기 44.4%, 학공치 85.0%% 감소

o갑각류
(단위:M/T, %)
|
구 분 |
5년평균 (2001~2005) |
2005.5 |
2006.5 |
증감율 | |
|
2006.5/5년평균 |
2006.5/2005.5 | ||||
|
붉은대게 |
1793 |
2388 |
2419 |
34.9 |
1.3 |
|
대 게 |
150 |
231 |
179 |
19.3 |
-22.5 |
|
기 타 게 |
972 |
1134 |
1186 |
22.0 |
4.6 |
|
기타새우 |
777 |
1172 |
1170 |
50.6 |
-0.2 |
|
꽃 새 우 |
656 |
291 |
931 |
41.9 |
219.9 |
|
꽃 게 |
849 |
389 |
1248 |
47.0 |
220.8 |
▶ 5월중 갑각류 7780M/T 생산, 2005년 동월(6813M/T) 대비 14.2% 증가
붉은대게 1.3%, 꽃게 220.8%, 꽃새우 219.9%, 기타게 4.6%, 기타갑각류 8.4%, 보리새우 대하 180.0% 증가
대게 22.5%, 기타새우 0.2%, 젓새우 59.6%, 중하 6.1%, 대하 54.3%, 닭새우 72.4% 감소

o패 류
(단위:M/T, %)
|
구 분 |
5년평균 (2001~2005) |
2005.5 |
2006.5 |
증감율 | |
|
2006.5/5년평균 |
2006.5/2005.5 | ||||
|
굴 류 |
10만391 |
11만214 |
17만188 |
65.4 |
53.3 |
|
홍 합 류 |
1090 |
3797 |
2874 |
163.7 |
-24.3 |
|
바 지 락 |
3415 |
2660 |
2290 |
-32.9 |
-13.9 |
|
동 죽 |
872 |
593 |
1000 |
14.7 |
68.6 |
|
백 합 |
316 |
231 |
851 |
169.3 |
268.4 |
|
키 조 개 |
468 |
538 |
594 |
26.9 |
10.4 |
|
전 복 류 |
62 |
158 |
250 |
303.2 |
58.2 |
▶ 5월중 패류 28만283M/T 생산, 동월(22만545M/T) 대비 25.5% 증가
동죽 68.6%, 기타패류 46.0%, 굴류 53.3%, 키조개 10.4%, 골뱅이 36.4%, 꼬막류 1160.0%, 전복 58.2%, 가리비 140.0% 증가
소라고둥 29.2%, 바지락 13.9%, 개조개 64.4%, 가무락5.0%, 맛류 81.6%, 피조개 40.1%, 새조개 88.0%, 홍합류 24.3%, 오분자기 60.0%, 코끼리조개 100.0% 감소

연체동물
(단위:M/T, %)
|
구 분 |
5년평균 (2001~2005) |
2005.5 |
2006.5 |
증감율 | |
|
2006.5/5년평균 |
2006.5/2005.5 | ||||
|
오징어류 |
2439 |
2970 |
2244 |
-8.0 |
-24.4 |
|
문 어 |
616 |
635 |
566 |
-8.1 |
-10.9 |
|
낙 지 |
670 |
924 |
846 |
26.3 |
-8.4 |
|
주 꾸 미 |
396 |
383 |
144 |
-63.6 |
-62.4 |
|
갑오징어류 |
254 |
376 |
843 |
231.9 |
124.2 |
▶ 5월중 연체동물 4784M/T 생산, 2005년 동월(5470M/T) 대비 12.5% 감소
갑오징어류 124.2%, 기타연체동물 100.0% 증가
오징어류 24.4%, 문어 10.9%, 낙지 8.4%, 주꾸미 62.4% 감소

o기타수산동물
(단위:M/T, %)
|
구 분 |
5년평균 (2001~2005) |
2005.5 |
2006.5 |
증감율 | |
|
2006.5/5년평균 |
2006.5/2005.5 | ||||
|
우렁쉥이 |
1063 |
2145 |
1599 |
50.4 |
-25.5 |
|
미 더 덕 |
730 |
131 |
258 |
-64.7 |
96.9 |
|
해 삼 |
183 |
183 |
279 |
52.5 |
52.5 |
|
성 게 |
74 |
137 |
115 |
55.4 |
-16.1 |
▶ 5월중 기타수산동물 2303M/T 생산, 2005년 동월(2709M/T) 대비 15.0% 감소
작황호조로 전월에 이어 가격상승 및 소비량 증가에 따른 생산물량 증가로 미더덕 96.9%, 해삼 52.5% 증가
우렁쉥이 25.5%, 성게 16.1%, 기타수산동물 54.0% 감소

o해조류
(단위:M/T, %)
|
구 분 |
5년평균 (2001~2005) |
2005.5 |
2006.5 |
증감율 | |
|
2006.5/5년평균 |
2006.5/2005.5 | ||||
|
김 |
486 |
955 |
2723 |
460.3 |
185.1 |
|
미 역 |
2782 |
5088 |
3428 |
23.2 |
-32.6 |
|
다시마류 |
8213 |
24만856 |
55만771 |
579.1 |
124.4 |
▶ 5월중 해조류 61만971M/T 생산, 2005년 동월(30만983M/T) 대비 100.0% 증가
김 185.1%, 다시마류 124.4%, 청각 1500.0% 증가
미역 32.6%, 톳 45.7%, 기타해조류 66.7%, 말 100.0% 감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