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다수 경기도 어업인은 연안해역에 버려진 어망과 해안가 등에 방치된 바다쓰레기를 수거하는 해양환경보전사업이 반드시 필요한 사업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가 지난 4월 19일부터 5월 18일까지 안산, 평택, 화성, 시흥, 김포 등 도내 어업인 319명을 대상으로 해양환경 보전사업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어업인 87%가 해양쓰레기 수거사업이 반드시 필요한 사업이라고 응답했다.
해양환경보전사업 이후 ▲해양쓰레기량 줄었음(88%) ▲어획기에 영향을 크게 미친다(88%) ▲수자원조성에 크게 기여(70%) ▲어업생산량 증대에 기여(91%)한다고 답해 해양환경 보전사업이 어업인들에게 환영받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어업인이 바라는 행양환경정책은 해양환경보전사업을 지속적으로 확대 추진(79%)에 이어 경기도에 바라는 가장 시급한 정책은 수매사업의 확대(41%), 어업인의 의식전환을 위한 교육(29) 등이다.
이와함께 해양쓰레기의 주요 오염원은 육지생활쓰레기(43%), 조업중 발생된 쓰레기 해양투기(37%), 어구분실(14%), 기타(6%) 등으로 응답했다.
또한 조업중에 발생되는 폐어구·어망의 처리에 대해서는 수매사업에 참여(47%), 육지로 가져와 태운다(28), 행정기관에 신고(18%), 바다에 버린다(7%) 등으로 대부분 어업인이 해양쓰레기 수매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선1척당 한번 조업하는데 발생하는 해양쓰레기양은 50kg 미만은 38%, 50~100kg 미만은 32%, 100~200kg는 23%, 200kg 이상은 7%라고 응답했다.
이밖에 조업선박 규모는 1톤 미만 11%, 1~5톤 미만 55%, 5~10톤 미만 34%로 집계됐으며 또한 연안어선 어업인 79%가 연안자망과 복합허가를 가지고 조업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지난 2004년부터 시작한 경기도의 해양환경 보전사업은 해안가에 버려지는 쓰레기 수거, 침체어망인양, 조업 중에 인양되는 해양쓰레기 수매, 양식어장정화, 갯벌살리기 사업 등 5개 사업으로 지난해까지 모두 6억 2천만원을 투자했으며 올해에는 9억원을 투입해 깨끗한 바다를 가꾸고 어장을 정화해 조업환경을 개선할 계획이다.
경기도 관계자는 “앞으로도 해양환경보전사업을 지속적으로 확대 시행해 깨끗한 바다가꾸기에 앞장서는 동시에 꾸준한 홍보와 교육을 통해 어업인들 스스로 의식전환이 이루어지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