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과 LG등 주요 대기업의 ‘맞춤형’인재 육성법이 관심을 끌고 있다.
기업의 ‘입맛’에 꼭 맞는 인재상을 직접 키우기 위해 대학에 별도 커리큘럼을 만들고 업무에 꼭 맞는 ‘맞춤형’인력으로 키우고 있다. 글로벌 경쟁에서 인재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생긴 현상이다.
삼성은 1995년부터 ‘소수의 기능성있는 인재’를 선발해 해외 비즈니스 스쿨이나 국내 대학 MBA(경영학 석사)과정에 입학시키는 제도를 운영중이다. 올해 첫 신입생을 뽑은 성균관대 반도체 공학과는 삼성이 요구한 실기 위주로 커리큘럼을 구성했다.
특히 글로벌 기업화를 통해 세계 시장 개척에 사운을 걸고 있는 삼성은 이건희 회장이 “그 나라의 기준으로 인재를 키우자”고 선언한 뒤 ‘지역전문가 제도’를 도입하고 14년 동안 60개국 700여 도시에 우수 직원 2800여명을 보냈다.
LG그룹의 인재 육성도 삼성 못지않다. 고려·한양·성균관·부산·경북·영남대 등과 협약을 맺고 주문식 교육과정인 ‘LG트랙’을 도입하여 학부 교육과정에 회사가 직접 강사를 파견하고 6개월간 인턴과정을 거쳐 입사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