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자부 기술표준원은 22일 올해 하반기 서비스품질우수기업에 대한 인증서 수여식을 개최하고 대한통운등 87개 기업에 대하여 인증서를 수여했다.
인증서 수여식과 함께 'CEO의 인증기업의 품질혁신 추진전략'에 대한 강의와 아시아나항공의 서비스품질우수사례 발표를 가졌다.서비스품질우수기업인증제도는 소비자의 고품질 서비스 요구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고 업계간 선의의 경쟁을 유발하여 서비스 품질향상을 통한 서비스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운영 해오고 있다.
이번(2006년 하반기)에 인증을 받은 서비스품질우수기업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 인증 기업 87개 기업 중 동아병원, 트렉스타, 대신네트웍스, 아남전자서비스 등 53개 기업이 중소기업(61%)으로 이는 서비스 품질에 대한 인식이 중소기업으로 확산되고 있음을 시사하고, 특히 부천시시설관리공단, 강동구도시관리공단, 경상북도개발공사, 대한지적공사, 한국청소년수련원 등 공공서비스분야의 인증획득도 증가추세에 있어서 민간서비스분야에 질 좋은 서비스가 확산될 것으로 기대된다.
※ 서비스산업의 선진국인 프랑스의 경우 공공서비스(철도, 우편 등)에 대한 인증으로 서비스 품질의식 확산
이번 인증서를 받은 주요기업들은 기업의 특성에 맞추어 신속하고 질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인증기업 주요 서비스 내용
|
1. 대한통운 : 서비스표준화를 위해 김치박스, 쌀 마대자루, 콘솔박스를 표준화하여 분실파손 방지와 비용절감의 효과 창출 2. 금호타이어 : “안전바캉스 - 타이어 무상점검 서비스부터”라는 테마로 장거리 여행을 하는 고속도로 고객들을 대상으로 전국 6개소의 고속도로 휴게소에서 고객에게 직접 찾아가는 서비스를 실시 |
이 제도는 기술표준원이 2001년부터 서비스표준화와 함께 도입 시행한 서비스분야에 있어서 유일한 정부인증 제도이며, 기업 및 국가경쟁력 제고와 더블어 소비자의 삶의 질 향상과 권익보호에 노력하고 있다.
평가방법과 지원
|
인증평가 방법 |
- 현장평가, 고객평가, 암행평가 결과 중소기업은 700점, 대기업은 800점(1,000점 기준 )이상을 획득해야 인증이 가능하지만 특히 고객평가는 30명의 고객을 임의로 선정하여 해당 기업을 평가하는 제도로 인증을 받으려면 고객에게 좋은 평가를 받아야 함 |
|
인증기업에 대한 지원 |
- 조달구매에서의 신인도 평가, 중소기업구조개선자금중 지식서비스육성자금 지원, 신용보증기금 및 서울보증보험의 보증심사에서 우대 아울러, 기술표준원은 ‘01년부터 관광, 이사, 택배, 콜센터 등 소비자 불만이 많은 27개 서비스 분야 71종의 KS 규격을 제정하였으며, 내년에도 금융, 물류, 경영컨설팅 등 지식기반 서비스분야와 보육, 실버 등 사회서비스 분야에 대한 표준화를 추진해 나갈 계획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