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조류 탄소흡수원 확대 방안 논의… 탄소거래시장 대응 기반 마련
한국수산자원공단(이사장 김종덕)은 11월 20일 서울 글래드 여의도에서 ‘기후해법, 바다숲 국제포럼’을 개최하고, 해조류를 활용한 신규 탄소흡수원 확대 방안과 탄소거래시장 진입 전략을 모색했다.
이번 행사는 해양수산부 주최, 공단 주관, 현대자동차 후원으로 열렸으며, 정부·국회·지자체·해양수산 유관기관 전문가 등 약 150명이 참석했다. 특히 지난 10월 페루 리마에서 열린 제63차 총회에서 해조류의 신규 탄소흡수원 산입이 국제적으로 합의된 이후 처음 열리는 국제포럼으로, 그 의미가 더욱 크다.
포럼은 세계적 블루카본 연구 권위자인 호주 퀸즈랜드대학 캐서린 러브락 교수의 기조강연을 시작으로, ▲국내 해조류 탄소흡수력 측정 방법론 개발 성과 ▲바다숲 탄소거래제도 도입 및 활용 방안 등 총 6개의 주제 발표가 진행됐다. 이어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패널 토론에서는 신규 탄소흡수원 확대 전략과 국제 탄소배출권 제도 대응 방안 등이 심도 있게 논의됐다.
우원식 국회의장은 영상 축사를 통해 “해조류를 중심으로 한 블루카본은 생태계 복원과 탄소흡수를 동시에 실현할 수 있는 자연기반 해법”이라고 강조했으며, 김성범 해양수산부 차관도 기념사를 통해 “바다숲 조성으로 기업의 국제 탄소규제 대응을 지원하고 해양수산인들에게도 실질적인 혜택이 돌아가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공단은 이번 포럼을 계기로 글로벌 전문가 협의체를 구성하고, 해조류 탄소흡수력 측정의 국제표준화와 탄소거래사업 기반 마련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김종덕 이사장은 “바다숲은 생태계 건강성 회복과 수산자원 확대는 물론,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달성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다”며 “앞으로도 해조류 기반 탄소배출권 시장을 선도할 수 있도록 공단의 역할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