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는 올해 59개 사업장의 화학물질 배출량 공개를 시작으로, 2010년에는 화학물질 배출량보고 대상 사업장 전체가 공개하도록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2000년도부터 시작된 화학물질 배출량조사는 그 동안 지역별·화학물질별·업종별로 종합적으로만 공개하여 왔으나, 올해부터는 화학물질 배출량 정보공개시스템(http://tri.nier.go.kr/triopen)을 통해 사업장별 화학물질 배출량을 공개하기로 하였다. 환경부 관계자는 이를 통해 기업 스스로 화학물질 배출량을 줄이려는 노력을 더욱 강화하고, 더불어 국민의 알권리도 충족시키는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올해 공개에 참여한 59개 사업장은 대부분 화학물질 배출저감 자발적협약 사업장(49개)으로서, 지역별로는 울산 14개, 전남 10개, 경기 7개 사업장 순으로 참여하였으며, 업종별로는 화학 34개, 전자부품·통신장비 7개, 코크스·석유정제 4개 사업장 순으로 참여하였다.
배출량 공개에 참여한 사업장은 ‘06년도를 기준으로 전체 화학물질 대상 사업장 취급량의 43.6%, 배출량은 8.6%를 차지하고 있으며, 특히 화학물질 취급량이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01년도보다 ‘06년도의 배출량이 44%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화학물질 배출저감의 성과를 보이고 있다.
이는 그 동안 화학물질의 환경배출을 줄이기 위해 환경부와 산업계가 함께 배출저감 자발적협약 체결, 정보교류회 활동, 배출저감기술 적용 등의 다양한 노력의 결과로 풀이된다.
또 환경부는 이번 공개에 자발적으로 참여한 기업들에 대해 배출량 정보공개에 따른 “화학물질 위해정보전달체계(Risk Communication)” 구축을 지원함으로써, 생산과정에서 화학물질 배출이 불가피함을 지역주민에게 이해시키고 정보를 공유하는 등의 적극적이고 효율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국민의 막연한 불안감을 해소하고, 기업에게는 사업장별 배출량 공개를 통해 스스로 배출량을 감축하는 등의 사회적 책임 이행을 유도, 투명한 기업활동 이미지를 홍보하는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