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2년 연속 20조원대 매출 달성했다

  • 등록 2007.01.11 16:50:20
크게보기

포스코는 작년 매출액 20조430억원을 기록함으로써 2년 연속 20조 원이 넘는 매출액을 달성했다.

  

11일 여의도 증권선물거래소에 서 개최한 CEO포럼에서 이구택회장이 직접 작년 경영실적과 올해 계획을 설명했다.

  

이날 이구택회장은 포스코가 년 매출액 20조430억원, 영업이익 3조8920억원, 순이익은 3조2070억원으로 견실한 경영실적을 달성했 다고 설명했다. 특히, 사상최초로 발표된 연결기준 실적으로는 매출액 25조7390억원, 영업이익 4조3950억원, 순이익 3조2070억원 이다.

  

올해 철강가격 하락, 원료가 상승 등으로 작년보다는 다소 실적이 떨어졌지만 예상보다 견실한 경영실적을 기록한 것은 작년 1분기에 하락세로 돌아섰던 국제 철강가격이 2분기 들어서면서 수요산업 호조로 다소 회복된 데다, 고부가ㆍ저원가 생산체제가 정착되어 자동차강판, 고기능 냉연강판, TMCP강 등 고부가가치 전략제품의 판매량이 2005년 1240만톤에서 작년 1470만톤으로 230만톤이 늘었기 때문이다.

  

특히, 6시그마와 QSS 등 혁신기법을 적용해 저품위 철광석을 사용하고도 동일한 품질의 철강재를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 적용 하고, 원료의 글로벌 소싱 등을 통해 1조1000억원의 원가를 절감함으로 써 원료비 상승분 등을 상쇄하고도 이익에 크게 기여했다.

  

작년 양호한 경영성과에 힘입어 포스코 주가는 2005년말 20만2000원에서, 작년말 30만9000원으로 53% 상승했으며, 시가 총액도 9조3500억원이 증가한 27조원으로 상장사 중 3위를 기록했다.

  

한편, 포스코는 작년 기술력과 노하우가 축적된 국내에서는 고부 가가치화를 추진하고, 해외에서는 전략시장 중심의 글로벌 시장지배력 강화를 위한 생산능력 확대 투자를 하는‘글로벌 TOP 3, BIG 3’전략을 적극 추진했다.

  

작년 6월 광양제철소에 No.6 CGL을 준공하며 자동차강판 650만톤 생산체제를 갖추었으며, 8월에는 두께·강도·재질이 서로 다른 강판을 적절한 크기와 형상으로 절단한 후 레이저로 용접하는 TWB (Tailor Welded Blanks, 맞춤식 재단용접강판)공장 증설을 완료했다.

  

또한 고급재인 전기강판 공장 신예화를 통해 전기강판 100만톤 생산체제를 구축하고, 포항 3고로 개수와 포항 2열연 설비 신예화를 완료하는 등 제품의 고부가가치화 투자를 성공적으로 추진했다.

  

이와함께 작년 11월 중국에 80만톤급 스테인리스 일관 생산설비를 준공함으로써 세계3위권 스테인리스 생산업체로 도약했다. 또한 인도 오리사주에 1200만톤 규모로 계획중인 일관 제철소 프로젝트는 작년말 30년간 사용할 수 있는 6억 톤의 철광석 광권에 대한 주정부의 승인 을 받아 중앙정부의 승인을 눈앞에 두고 있으며, 인도정부로부터 제철소 부지 전체가‘특별경제구역’으로 승인받음으로써 사업추진을 가속화했다.

  

또 베트남 남부 경제중심도시인 호치민시 인근 붕따우시에 열연과 냉연 공장과 멕시코 자동차강판 공장을 건립, 운영하기 위한 법인을 각각 설립했고, 일본, 태국, 인도 지역에 가공센터를 추가해 전 세계적으로 가공센터를 모두 14개로 확대, 해외 현지 가공 및 생산ㆍ판매기지를 한층 강화했다.

  

포스코가 세계 최초 상용화를 추진하고 있는 파이넥스 공법은 데모플랜트 조업 결과, 가루형태의 철광석을 100% 사용할 수 있게 되는 등 최적 조업기술을 정립하게돼 올해 상용화 설비 성공이 확실시 되고 있고, 쇳물에서 바로 강판을 생산하는 스트립캐스팅 데모플랜트도 지난해 6월 준공이래 안정적인 조업실적을 보여주고 있다.

  

이와함께 포스코는 성장의 새로운 축으로서 작년 3월 국내 최대의 민자 발전회사로, 액화천연 가스를 주연료로 사용하는 4기의 복합화력 발전설비를 갖춘 포스코파워 지분을 100% 취득했고, 8월에 재활용과 전자파 차폐 등에서 높은 경쟁우위를 보이고 있는 소재인 마그네슘 판재공장을 착공했으며, 발전용 연료전지사업도 본격화하는 등 다양한 부문에서 투자 기회를 모색했다.

  

또한 대형화, 통합화 등 세계 철강산업의 급격한 환경에 공동 대응하기 위해 일본 최대 철강사인 신일본제철과 상호 보유지분 확대, 철강재 소재인 슬래브 교환, 부산물 재활용사업 협력, 원료 공동투자 등을 주내용 으로 하는 전략적 제휴를 강화했다.

  

2007년 글로벌 성장투자 본격 추진과 연결경영 강화

  

올해 포스코는 세계적으로M&A 추세 지속, 원료확보 경쟁 등 철강산업 경쟁 패러다임의 변화에 대응해 중국 등 성장시장과 해외 원료개발 투자 강화 등 글로벌 성장투자를 본격 추진하고, 고부가가치ㆍ저원가생산 체제 정착으로 글로벌 톱 수준의 경쟁력을 확보하며, 범포스코 동반성장 과 새로운 성장엔진 발굴을 통한 전체 가치 극대화에 주력해 초일류 글로벌 POSCO 실현에 한걸음 더 나갈 계획이다.

  

글로벌 성장 투자 본격추진

 

인도 오리사주에 추진중인 일관제철소 사업을 성공적으로 완수하기 위해 오는 3월에 탐사권 획득, 9월에 부지매입 완료, 10월에 항만과 제철소 부지조성공사 착공 등 계획대로 차질없이 추진하여 2010년말 1단계 조강400만톤 생산 설비를 완공할 계획이다.

  

또 120만톤 규모의 베트남 냉연공장과 멕시코 자동차강판 공장 모두 2009년 준공을 목표로 오는 10월 착공할 예정이다.

  

또 니켈광권 확보와 함께 니켈제련공장을 오는 7월에 착공할 계획이며, 원료개발 투자와 함께, 세계 주요 철강사와의 전략적 제휴도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포스코 고유의 혁신기술 상용화 완성

 

포스코는 올해 글로벌 기술 리더십 확보를 위해 지난 100여년간 가장 경제성 있는 철강생산 공법으로 평가 받아온 용광로 공법을 대체하는 ‘파이넥스공법’과 쇳물에서 바로 얇은 강판을 생산하는‘스트립캐스 팅’공법 등 고유의 혁신기술의 상용화 완성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파이넥스 공법은 지난 2003년 5월 완공한 연산 60만톤 규모의 데모 플랜트 조업을 통해 생산성과 연료비 등 조업한계를 검증하고 현재 상업화를 위한 최적 조업기술 확보에 성공해 오는 4월 세계 최초의 상업설비인 연산 150만톤의 파이넥스 1기를 준공할 계획이다.

  

파이넥스 공법은 기존 용광로공법에 비해 철광석과 유연탄의 사전 가공과정이 필요없어 설비투자비를 절감할 수 있고 이 공정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아직 지구상에 매장량이 많아 값이 저렴한 가루형태의 철광석을 바로 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이와함께 포스코는 스트립 캐스팅(Strip Casting) 공법의 상용화를 위해 포스트립(poStrip) 데모플랜트(Demo Plant) 조업을 통해 안정적인 주조와 압연기술을 적극 확보해 나갈 계획이다.

  

고부가가치ㆍ저원가 생산체제 지속

 

포스코는 올해 자동차강판, 고급 API강, 전기강판 등 전략제품을 중심으로 한 고부가가치 제품 생산체제 구축을 위한 설비 개수 및 합리화를 지속 추진하고, 전략제품 판매비율을 63%로 끌어올리기 위해 11개의 해외 전문 가공센터를 증설하는 등 판매기반을 강화할 계획이다. 또한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극한적인 원가절감을 실천함으로써 고부가가치ㆍ저원가 생산체제를 확고히 정착시켜 나간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포스코는 광양제철소내 3고로를 올해 10월부터 3개월간 개수해 생산능력을 연간 67만톤 늘리고, 오는 8월 2연주공장, 오는 10월 3열연공장과 4냉연공장의 합리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현재 6개국 14개 해외 전문 가공센터를 8개국 25개로 늘릴 계획이다.

  

특히 지난 해에 이어 극한적 원가절감 노력을 계속 추진하여 올해 저가 원료 사용기술 적용 확대와 원료 구매의 글로벌 소싱강화를 통한 원료비 3600여억원, 재료비 400여억원, 에너지비용 350여억원 등 모두 5000 억원의 원가절감 목표를 수립했다.

  

범포스코 동반성장과 새로운 성장엔진 발굴

 

포스코는 세계 초일류 글로벌 기업을 목표로 성장과 혁신의 눈높이를 더욱 높이고 범포스코 차원의 동반성장과 신성장엔진 발굴을 통해 포스코와 출자사 전체의 가치를 극대화하는데 주력할 계획이다.

  

포스코는 올해 국내외 모든 출자사가 마치 하나의 회사처럼 통일된 비전과 전략하에 경영자원을 활용하고 의사결정의 효율성을 높여 시너지를 최대화하기 위해 전략수립에서부터 성과관리, IR활동에 이르기까지 전부문에 걸쳐 연결경영을 추진할 계획이다.

  

또 주력 출자사의 자력 성장기반을 확충하는 한편 에너지, 건설, 정보통신, 신소재 등 미래 성장을 담보할 새로운 사업을 지속적으로 발굴, 육성키로 했다.

  

포스코는 올해 생산성 향상과 문제해결 능력 제고를 통해 종합 경쟁력을 혁신하기 위해 포항 및 광양 제철소를 중심으로 불붙기 시작한 QSS학습동아리 활동을 더욱 활성화 시켜 전 부문에서 숨어있는 문제를 발굴하여 개선하는 고유의 혁신활동인 포스코형 6시그마 모델(PSSM: POSCO Six Sigma Model)를 완성할 계획이다.

  

2007년 투자비 5조9000억원

 

포스코는 올해 계획을 성공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전략제품 증산에 1조2000억원, 생산능력 증강에 7000억원, 설비 보전과 원가절감에 1조원, 해외 철강과 원료개발 투자에 1조7000억원, 신사업 추진 등에 1조3000억원 등 모두 5조9000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연결기준으로는 모두 7조4000억원에 달한다.

  

이와함께 올해 포스코는 연결기준으로 조강생산 3240만톤, 제품판매량 3170만톤, 매출액 29조8000억원, 영업이익 4조9000억원의 경영목표를 수립해 달성키로 했다.

  

단독으로는 조강생산 3060만톤, 매출액 21조3000억원, 영업이익 4조1000억원이며, 이날 CEO 포럼에 앞서 개최된 이사회에서는 제39기 정기 주총 개최 계획, 베트남 냉연공장 투자계획 변경, 포항 전기아연도금 강판 신설 등이 의결됐다.

  

이날 이사회에서 베트남 냉연공장 프로젝트는 당초 1단계 냉연 70만톤, 2단계 냉연 80만톤 증설, 열연300만톤 신설에서 1단계 냉연 120만톤, 2단계 열연 300만톤 신설로 투자계획을 변경하기로 결정했다.

  

베트남 냉연공장 투자계획 변경으로 1단계 건설예정이었던 70만톤급 냉연설비를 120만톤급으로 교체키로 함에 투자비도 당초 계획보다 1억3000만$ 증가한 4억9100만$로 됐다.

  

또 우리나라가 세계 LCD Panel 생산의 약 40%를 점유하고 있어, 여기에 소요되는 전기아연도금 내지문(耐指紋)강판이 2010년에는 약 40만톤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포항제철소 내에 연 30만톤 규모의 전기아연도금강판을 신설키로 했다.

  

모두 997억원을 들여 건설한 전기아연도금강판공장은 오는 10월에 착공해 내년말에 준공할 계획이며, 2009년부터 삼성, 엘지 등 국내가전사의 국내 및 해외 공장과 대만과 일본계의 중국과 동유럽 현지공장에 판매할 계획이다.

정선영 기자
Copyright @2006 해사경제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세계 물류중심의 견인차 | 서울특별시 도봉구 해등로 241-14, 1동 801호(쌍문동, 금호2차아파트) | 발행인:정재필 | 편집인:강옥녀 대표전화 02)704-5651 | 팩스번호 02)704-5689 대표메일 | jpjeong@ihaesa.com 청소년보호책임자:정재필 | Copyright@2006 해사경제신문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서울아00165 | 등록발행일 : 2006년 1월 13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