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산부, 2026년 예산 7조 3,287억 원 확정…북극항로·AI·친환경 해양산업에 집중 투자

해양수산부(장관 전재수)가 2026년도 정부 예산안을 7조 3,287억 원으로 편성했다. 올해 예산 6조 7,816억 원보다 8.1%(5,471억 원) 늘어난 규모로, 북극항로 개척과 해양산업의 인공지능 전환(AX), 기후위기 대응 등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하기 위한 투자가 대폭 반영됐다.
부문별로는 ▲수산·어촌 3조 4,563억 원(+8.4%) ▲해운·항만 2조 1,373억 원(+2.6%) ▲물류·해양산업 1조 680억 원(+12.1%) ▲해양환경 4,212억 원(+21.7%) ▲과학기술·연구지원 2,459억 원(+15.3%) 등이 배정됐다. 연구개발(R&D) 예산은 8,405억 원으로 전년 대비 917억 원 증가해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우선 정부는 북극항로 시대를 대비한 기반 조성에 나선다. 해운선사의 쇄빙·내빙선 건조와 차세대 쇄빙연구선 개발(79억 → 611억 원), 친환경 쇄빙 컨테이너선 기술개발(37억 원 신규) 등 극지 진출을 위한 기술개발 예산을 크게 늘렸다. 또한 북극항로 물동량에 대응할 거점 항만을 육성하고, 부산항 진해신항, 광양항 자동화 테스트베드 등 대규모 스마트·친환경 항만 인프라를 확충한다.

수산업 경쟁력 강화와 어촌 활력 회복을 위한 지원도 확대됐다. 스마트 양식 혁신지구와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첨단 양식시설 보급에 285억 원을 신규 편성하고, 김 등 주요 양식품목의 계약생산 지원(408억 원 신규), 저온 위판장·산지유통시설 구축을 통해 안정적인 공급망을 구축한다. 수출기업에는 바우처와 해외 물류 지원을 확대하고, 마른김 거래소 운영 장비 지원 등으로 글로벌 시장 진출을 가속화할 계획이다.
해양 신산업 육성을 위한 투자도 강화된다. 해양수산 분야 기업을 대상으로 한 AI 응용제품 상용화 지원(450억 원 신규), 연안 해양기업 특화 펀드(200억 원 신규) 등이 대표적이다. 해상풍력특별법 시행에 맞춰 입지정보 분석과 영향조사 예산도 신규 반영됐다. 해양바이오 산업에서는 해양 생물 기반 역노화 소재 개발, 재조합 의약품 생산기술 고도화 등 연구개발 예산이 포함됐다.

또한 해양주권 강화와 청정 바다 구현을 위한 예산도 늘었다. 중국어선 불법어업 대응과 어업지도선 건조, 민·군·경 협력형 AI 해양영상 분석기술 개발, GPS 전파 혼신 대응 장비, 해상안개 관측망 구축 등 안전 대응 체계가 보강된다. 해양폐기물 저감을 위해 어구·부표 보증금제를 확대하고, 갯벌 복원과 바다숲 조성 예산도 크게 늘려 탄소중립 실현에 기여한다는 방침이다.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은 “2026년도 예산은 당면한 현안을 해결하는 동시에 해양수도권 조성과 해양 신산업 육성을 위한 투자가 반영됐다”며 “예산안이 국회에서 원안대로 통과돼 대한민국이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