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기인 해양쓰레기도 Made in China
해양환경관리공단, 2012 국가해양쓰레기 모니터링 사업 착수
해양환경관리공단(KOEM, 이사장 곽인섭)은 3월 15일, 해양 생태계 파괴, 선박사고 유발, 관광자원 훼손, 인접국 이동에 따른 피해 등 다양한 문제를 일으키는 해양쓰레기에 대한 모니터링 사업(2012년) 추진 계획을 밝혔다. 본 사업은 우리나라 20개 연안에서 실시되며, 19개 지역 민간단체(NGO)와 협약을 체결하여 추진할 예정이다.
2011년도 국가 해양쓰레기 모니터링 결과를 보면, 국내 해양쓰레기의 70%이상은 육상에서 기인했으며, 이는 대부분 생활쓰레기로 확인됐다. 외국에서 국내로 유입되는 해양쓰레기는 전체발생량의 8.4%(중량 기준) 수준으로 제주, 진도, 부안 등 서남해안에 집중적으로 발견되었으며, 이 중 약 96%는 중국에서 발생한 것으로 추정됐다. 아울러 국내에서 확인된 해양쓰레기 중 81%는 플라스틱류, 목재류, 스티로폼류로 나타났다.
해양환경관리공단 관계자는 “해양쓰레기의 국가 간 이동에 따른 문제는 전 세계적인 현안사항으로 국제협력에 기반을 두어야 한다.”며 “해양쓰레기의 발생억제를 위해 대중인식 증진활동과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한 데이터 분석 등 과학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해양환경관리공단은 해양쓰레기에 대한 종합적인 연구와 국가정책 제안, 한·중·일 해양쓰레기 공동대처방안 모색을 위해 작년 11월 해양쓰레기 대응센터(MALI Center)를 개소했다. 향후 공단은 ‘해양쓰레기 통합정보시스템’을 오픈하여 데이터 관리의 효율성을 제고하는 등 해양쓰레기 모니터링 사업에 더욱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