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 정비사업 더 안전하게 어항 이용한다
방파제 등 어항시설 보강에 전체 9815억원 투자
방파제 등 어항시설 보강에 전체 9815억원 투자
해양수산부(장관 윤진숙)는 태풍 등 자연재해로부터 어항시설의 피해 예방을 위해10년부터 지난 3년간 시행한 82개 국가어항에 대한 설계파 검토 및 안전성 평가 결과를 발표했다.
세부적으로 보면, 설계파 재검토 결과 82개 국가어항 중 49개항의 설계파고가 증가하였고, 이중 가거도항은 최대 3.7m가 증가했다.
설계파 증가 원인은 2000년도 이후 태풍 매미, 무이파, 볼라벤 등 지속적인 대형태풍 내습에 따른 것으로 분석됐다. 방파제 등 외곽시설물 안전성평가 결과 82개항 192개 시설 중 보수·보강이 필요한 시설은 56개항 90개소(21,313m)로 검토되었으며, 총 보수·보강비용은 약 6,684억 원으로 추정됐다.
보수 보강은 기존 방파제가 강력해진 태풍에 견딜수 있도록 외측의 TTP 등 피복재 규모를 키우고 더 높일 계획이다. 또한, 어선의 안전한 정박을 위해 기상악화시 항내파고가 높은 총 27개 국가어항은 정온도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고 이에 소요되는 비용은 약 3,131억 원으로 추정됐다.
해양수산부는 보수·보강이 시급한 항에 대하여는 조기에 정비사업을 착수하는 등 대책 마련에 최선을 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우선, 시설물 안전성 평가결과 보수·보강이 필요한 56개 항 중 현재 공사 중인 7개 어항에 대하여는 설계변경을 통해 평가결과를 반영하여 예산낭비를 최소화하고, 정비계획에 이미 반영된 10개 항은 계획에 따라 정비사업을 차질 없이 시행하고, 미 반영 39개 항은 우선순위에 따라 순차적으로 예산을 확보해 적기에 시설물의 보수보강을 실시할 계획이다.
올해 국가시행 어항정비사업은 최근 대규모 태풍피해가 발생한 가거도항을 포함하여 31개항 904억원으로서 전년대비 12개항 297억원이 증액된 수준이며, 어업인들이 어항을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규모를 확대할 계획이다.
아울러, 신규시설물 설치가 필요한 항내정온도 개선은 기존시설물 보수·보강 우선 추진 후 시행하나, 여건변화에 따라 종합적인 정비사업 필요시 동 정비계획에 포함하여 검토할 계획이다.
앞으로, 어항시설의 보수보강 및 정온도 개선이 완료되면 기후변화에 따른 어항시설 피해 최소화는 물론 국민의 재산과 생명을 보호하는데 이바지하고, 피해복구로 인한 사회적 손실비용 감소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