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 장묘문화 수목장 활성화 나선다
국민인식 변화 화장 수목장 선호 높아져
국민인식 변화 화장 수목장 선호 높아져
산림청(청장 신원섭)은 친환경적인 장묘문화를 퍼트리기 위해 ‘수목장림 활성화 추진계획’을 수립했다고 5일 밝혔다.
이번 계획은 국민인식 변화로 화장(火葬)을 통한 수목장 선호도가 높아짐에 따라 수목장림 시설을 확대하기 위해 마련됐다.
주요내용은 2017년까지 국립ㆍ공립ㆍ공공법인 수목장림 조성지 24개소 확보를 목표로 △수목장림 시설 확대 △수목장림 관련 법령 등 제도정비 △ 불법․부실 수목장림 근절 방안 마련 △수목장림 관련 교육과 홍보 등을 담고 있다.
산림청 최병암 산림이용국장은 “수목장림 활성화 추진계획을 통해 자연친화적이고 지속가능한 장묘문화 확산을 위한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누구나 쉽게 수목장림을 이용할 수 있도록 정책을 추진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참고로 최근 화장률은 2000년 33.7%에서 2012년에는 74.0%로 증가했다. 화장 후 장사방법에 대한 선호도는 수목장이 44.2%, 납골 37.0%, 자연장 11.8%, 기타 7.0% 순으로 조사되는 등 수목장림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는 추세다.
수요는 증가하고 있지만 2013년 말 기준으로 조성된 수목장림 58개소 중 일반인이 이용 가능한 곳은 전체의 1/3(19개소)에 불과하다. 또, △고가의 분양가 △부실운영 △불법 산림훼손 등의 문제를 안고 있다.
우리나라의 묘지 면적은 국토의 1%에 해당하는 약 10만ha다. 최근 5년간 연평균 76ha의 숲이 묘지로 사용되고 있고, 매년 270여 건의 불법 산림훼손이 발생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