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안 연근해 침적폐기물 한 눈에 보는 분포도 작성 완료
남동해 남해서부권역에 이어 동해권역 침적폐기물 실태조사 완료
남동해 남해서부권역에 이어 동해권역 침적폐기물 실태조사 완료
해양수산부는 연근해 주요 어장 인근 침적폐기물에 대한 종합적인 관리체계를 구축하기 위하여 실시한 동해권역(강원도, 경상북도)의 침적폐기물 실태조사(49개 소해구, 108개 대표구역) 및 분포도 작성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이번 동해권역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폐기물량은 1,434톤(양식장, 항만, 어항 제외)으로 추정되며, 대부분은 유실되거나 방치된 폐어구·폐어망 등으로 그 중에서도 통발과 자망 등이 60∼80%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양수산부는 지난 2012년도에 남동해권역을 시작으로 2013년도에는 남해서부권역에 대한 연근해 침적폐기물 실태조사를 실시하여 각각 4,190톤, 4,401톤의 폐기물량에 대한 추정 분포도를 작성하고 연근해 어장에 대한 침적폐기물 관리방안을 마련한 바 있다.
이번에 세 번째로 실시된 동해권역 조사에서는 양방향 음파탐사 등 현장조사 결과와 재침적율 등 사후조사 결과를 토대로 침적폐기물 정화관리지표를 분석하여 중장기 관리방안을 수립하였으며, 조사 결과는 기초자료로서의 활용 가치도 높아 연안 어장 침적폐기물 수거처리의 효율성을 크게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해양수산부는 정화관리지표에 따라 산출된 결과를 토대로 중점관리해역(3년 주기), 일반관리해역(5년 주기), 일반해역(10년 주기) 등으로 구분하여 연근해 침적폐기물의 체계적인 관리체계를 마련하고, 나아가 어장정보, 침적폐기물의 분포‧수거정보 등을 포함한 지리정보시스템(GIS)을 기반으로 한 침적폐기물 관리시스템을 구축해 나갈 계획이다.
오광석 해양수산부 수산자원정책과장은 “앞으로도 국내 연근해 주요 어장의 생태환경을 개선하고 수산자원을 회복하기 위해 침적폐기물의 실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