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2 (화)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HMM, 미국 캘리포니아 오렌지 한국 운송 3년 연속 1위

HMM, 미국 캘리포니아 오렌지 한국 운송 3년 연속 1위
리퍼 컨테이너 운송 역량 기반… 시장점유율 25%→37%로 확대
워싱턴 체리 등 고부가가치 냉동화물 운송사업 본격화



국적 선사 HMM(대표이사 최원혁)이 미국 캘리포니아산 오렌지의 한국 수입 운송에서 3년 연속 1위를 기록하며 리퍼 컨테이너 시장에서의 입지를 확고히 다졌다.

22일 HMM에 따르면, 미국 해운조사기관 JOC의 ‘피어스 데이터(Piers Data)’ 기준으로 HMM은 올해 총 3,062TEU의 캘리포니아산 오렌지를 한국으로 운송하며 1위 자리를 유지했다. 2위는 SM상선(1,779TEU), 3위는 일본의 ONE(1,334TEU)이 차지했다.

HMM은 2023년 25%였던 시장점유율을 2024년 33%(2,982TEU)로 끌어올린 데 이어, 2025년에는 37%까지 확대하며 3년 연속 선두를 유지했다. 이는 단순한 물량 증가를 넘어 리퍼 컨테이너 분야에서 HMM의 기술력과 서비스 역량이 국내외 화주들로부터 인정받고 있다는 방증이다.

캘리포니아산 오렌지는 국내 수입 오렌지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주로 1월부터 4월 사이에 해상으로 운송된다. 운송 과정에서 일정 온도를 유지해야 하는 특성상 냉장·냉동이 가능한 리퍼 컨테이너가 필수다. 이 화물은 신선도 유지가 핵심으로, 정밀한 온도 관리가 가능한 고도의 운송 역량이 요구된다.

HMM은 이에 발맞춰 일반 리퍼 컨테이너의 지속적인 확보는 물론, 일부 글로벌 선사만 보유한 영하 60도의 초저온 운송이 가능한 ‘울트라 프리저(Ultra Freezer)’를 운영하고 있다. 더불어 IoT 기반의 실시간 상태 모니터링 기술을 적용해 운송 안정성을 높이고 있다.

HMM 관계자는 “최근 고부가가치 품목의 해상운송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며 “올해부터 새롭게 운송을 시작한 워싱턴 체리를 포함해 초저온, 정밀 온도 관리가 필요한 고가 화물을 적극 발굴하고 있다”고 밝혔다.

HMM은 향후 리퍼 컨테이너 분야에서의 기술 고도화를 통해 고부가가치 해상운송 시장을 선도하겠다는 전략이다. 최근의 시장 확장세와 운송 품질 확보를 바탕으로, 수익성과 기술 경쟁력을 동시에 갖춘 선도 기업으로의 도약이 주목된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