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통부 네트워크 로봇 사업성과 점검 향후 정책방향 발표
정부가 IT신성장동력으로 육성하고 있는 네트워크 로봇(URC)산업 활성화를 위해 개방형 연구개발(R&D) 전략을 본격 추진한다.
정보통신부는 14일 서울 프라자 호텔에서 유영환 차관 및 산·학·연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지난 3년간 추진해온 네트워크 로봇(URC: Ubiquitous Robotic Companion) 사업의 성과를 점검하고 로봇 산업의 본격적 도약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한 향후 로봇산업 정책방향을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URC사업은 그 동안의 많은 성과에도 불구하고 산업화 초기 과정에서 대규모 수요를 견인할 수 있는 기술적 역량의 부족, 가정 등 주류 시장을 대상으로 한 킬러 애플리케이션 설계 능력의 부족, 벤처기업 중심의 산업구조 등이 URC산업 활성화에 장애가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앞으로 우선 개발 시급성, 산업적 가치, 아웃소싱 가능성 등을 기준으로 핵심기술 및 조기 제품 상용화에 필요한 기술만을 자체 개발하고 이외에는 국내·외 기관과의 연계 및 글로벌 아웃소싱을 통해 확보하는 개방형 R&D전략을 추진하게 된다.
이를 통해 2012년까지 시장창출 가능성이 높은 기술 선도형 차세대 로봇 개발을 추진하고 기업에 대해서
는 연구개발 과제별 수요자 그룹(user group) 구성, 테크 쿠폰(tech-coupon)제도 운영 등 R&D 기획과정에서부터 최종 제품개발 까지 全 주기적 기술지원을 제공하게 된다.
테크 쿠폰(tech-coupon)제도는 국민로봇사업단 참여기업들이 쿠폰 제시로 ETRI, KIST 등에 일정시간 기술 지원 서비스 권리를 행사하는 제도이다.
또, URC수요 기반 확충을 위해 u-시티, u-러닝 등 미래 IT사회 실현을 위한 다양한 유비쿼터스 서비스와의 연계 사업 및 서비스 확산을 추진하고, 로봇서비스 이용자의 권익 제고 및 이용환경 개선을 위해 ‘URC 로봇 인증제도’를 도입해 로봇 제품 등에 대한 소비자 신뢰도를 높일 계획이다.
이외에도 로봇 서비스 이용약관 및 보험제도 도입, 사생활 보호 가이드라인 마련 등 이용자 친화적 제도를 마련하고 로봇 구매비용 부담 완화를 위해서는 로봇 리스·렌탈 서비스를 시범 실시하는 한편, 기업들의 로봇 구매·리스 비용에 대한 투자 세액 공제를 관계부처와 협의해 추진할 계획이다.
그리고 URC산업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로봇 업종 전문화·분업화를 촉진할 수 있도록 디자인, 서비스 개발 등에 역량 있는 기업들을 발굴하여 지원을 강화하고 미래 로봇산업을 이끌 전문 인력양성도 확대한다.
정통부는 2세대 URC사업의 차질 없는 추진을 위해 로봇기업·CP, 서비스 사업자, 로봇 이용기관, 학계, 연구기관 등이 참여하는 'URC 전략위원회‘를 구성하고 네트워크 로봇 산업의 도약을 위한 비전과 함께 세부 이행전략을 마련하기로 했다.
또, 관계 부처 로봇 정책 담당자가 참여하는 ‘로봇정책협력위원회’ 구성을 제안하여 부처간 공동 연구 및 연구 성과 공동 활용 등 범정부적인 협력도 강화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