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수출 월간 최고치 기록…증가속도는 ‘주춤’
올 10월 수출과 수입이 모두 월간 단위로는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무역수지는 22억달러를 기록하면서 55개월 연속 흑자를 이어간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자원부는1일 발표한 ‘10월 수출입 동향’에서 10월 수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4.2% 증가한 347억9000만 달러, 수입은 27.2% 늘어난 325억9000만 달러로 무역수지 흑자는 1억9000만 달러였다고 밝혔다.
10월 수출과 수입 실적이 모두 월간 기준 최고치를 기록한 데는 지난해 10월에 있던 추석이 올해는 추석이 9월로 옮겨져 조업일수가 지난해보다 3.5일 늘어난 점이 원인으로 작용했다.
그러나 환율 하락과 유가 급등으로 수출 증가세는 이전보다 다소 완화된 모습이다. 추석효과를 제외한 9~10월 수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1.3% 늘어나 올해 상반기 수출증가율 14.4%나 6~8월 수출증가율 15.1% 에 비해 증가율이 다소 떨어졌으나 여전히 두자릿수 증가율을 이어갔다.
품목별로는 일반기계(52.8%), 자동차(32.0%), 무선통신기기(42.7%) 등이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높은 증가율을 보였으나 정기보수로 생산이 감소한 철강과 가격 약세에 직면한 반도체의 수출액은 각각 1.5%, 3.0%씩 줄었고 선박 인도 스케줄의 영향으로 선박 수출액도 16.3% 감소했다.
지역별로는 중동(85.1%), 아세안(33.2%), 중국(33.1%) 등지로의 수출이 전체 증가율을 주도했다.
산자부는 “9∼10월간 수출은 신흥 개도국과 중동 등으로의 수출 증가로 두 자릿수 증가세를 유지했으나 미국의 서브프라임 모기지(비우량 주택담보대출) 부실문제와 국제유가 상승, 원화 가치 상승 등의 영향으로 둔화세가 나타나고 있어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진단했다.
특히 산자부는 “반도체 가격이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국내 수요의 증대로 철강 수출이 감소할 조짐을 보이고 있는 것도 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오정규 산자부 무역투자진흥관은 이날 브리핑에서 “전세계 경제의 미국 종속도가 낮아지고 우리나라 수출도 다변화 돼 세계경기가 악화하지 않는다면 두 자릿수 수출 증가율은 내년 초까지 이어질 것”이라며 “당초 목표했던 무역수지 흑자규모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오 진흥관은 환율 하락에 대해서는 “환율 하락이 미국 금리 인하 등에 의한 글로벌 달러 약세의 일환이어서 우리나라만의 문제가 아니다”라고 설명하며 “수출을 책임지고 있는 산자부는 기업들이 환율하락을 어느 정도 감내할 수 있는 수준인지, 구조조정으로 내부에서 흡수할 수 있는 정도인지 등 현장의 목소리를 듣는 자리를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9∼10월 수입은 원자재와 자본재 수입 증가율이 각각 11.5%, 6.7%로 최근 국내 설비투자 증가율의 둔화를 반영했으나 소비재 수입 증가율은 12.1%로 상대적으로 높은 증가세를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