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청(청장 허용석)은 ‘2009년도 상반기 마약류 밀수 검거동향’을 발표하고, 금년도 상반기 중 주요 마약류 총 64건, 26.6㎏, 452억원 상당을 적발했다고 밝혔다. 이는 전년동기에 비하여 중량 및 금액기준으로 24%, 145%가 각각 증가한 수치이다.
마약 종류별로는 국내 주요 남용 마약류인 메스암페타민(일명 ‘필로폰’)이 40건 14.7kg, 대마초 14건 11.2kg, MDMA(엑스터시)가 945정 등으로 이들 3종 마약류가 전체 적발량의 98%를 차지했다.
이 같은 마약류는 52만 명이 동시에 투약할 수 있는 량으로 최근 5년간 단속실적중 최대 적발량 (1회 투약분: 메스암페타민 0.03g, 대마초 0.5g) 이다.
관세청의 분석에 따르면, 작년 하반기부터 항공여행자를 이용한 중대형 조직밀수가 지속적으로 적발되고 있고, 특히 국제마약조직이 한국을 중간 기착지로 이용하여 남아공, 터키, 캄보디아 등 새로운 마약류 공급지로부터 일본, 대만 등 최종 목적국으로의 중계밀수를 꾸준히 시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밀수의 대형화 추세가 지속되어 100g 이상의 대형 밀수가 23건으로 전체의 36%를 차지했는데, 그 가운데 13건이 남아공, 일본, 대만 등 다양한 국적의 항공여행자를 운반책으로 이용한 밀수였다.
특히, 남아공으로부터 적출된 메스암페타민 6kg 및 대마초 10kg이 각각 적발되었는바, 이는 금년 상반기 중 적발된 전체 마약류의 중량대비 61%를 차지하는 것으로 남아공이 우리나라의 주요 마약류 공급지로 부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밖의 특이사항으로는 과거 수년간 우리나라에서 거의 적발되지 않던 “황금의 삼각지대(Golden Triangle)”産 헤로인(340g) 밀수가 적발되었으며, 국제우편이나 특송화물을 통하여 케타민, 크라톰, 벤질피페라진 등 신종마약도 밀반입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관세청은 금년들어 마약류의 주요 밀반입 경로에 대하여 X-ray검색기, 마약탐지견 등 단속장비와 단속인력을 집중 투입하여, 지난해에는 유관기관 등 외부 정보에 의한 적발실적이 금액기준 48%에서 금년에 23%로 급감한 반면, 세관자체 역량에 의한 적발실적이 지난해 52%에서 금년도 77%로 급증하였다.
이처럼 세관의 자체적발실적이 크게 증가한 것은 일본, 대만, 태국 등 주변국의 마약류 밀수동향을 신속히 입수·분석하여 우리나라를 경유하는 중계밀수를 효과적으로 차단한데 따른 것이다.
관세청은 마약밀수를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하여 자체단속역량을 강화하고‘세관·검찰 합동마약수사반’상설운영, 경찰과의 수사공조에 주력하였으며, 앞으로도 해외여행자, 국제우편, 특송화물 등 마약류 주요 밀반입 경로에 단속역량을 집중하는 한편, 검·경찰, 국정원, 외국세관 등 국내외 단속기관과 정보교류 및 공조수사 강화를 통하여 불법 마약류의 국내반입을 원천봉쇄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기울일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