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자부 9월 수출 22.1% 증가 299억 달러 기록
9월 수출과 수입이 사상 최대치를 기록하면서 올해 수출과 무역수지 흑자 목표를 무난히 달성할 것으로 기대된다.
산업자원부가 1일 발표한 9월 수출입 동향(통관기준 잠정치)에 따르면 수출은 지난해 대비 22.1% 증가한 299억3000만 달러, 수입은 22.8% 증가한 279억 달러를 기록하면서 기존의 최고치 기록을 모두 갈아치웠다. 수출은 8개월 연속 두자리수 증가율을 이어갔다.
무역수지 흑자는 20억3000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2억3000만 달러 늘어났다.
9월 수출이 사상 최대치를 기록하면서 올해 경기전망을 밝게하고 있다. 산업자원부.
9월 수출은 자동차 수출이 파업 차질 만회를 위한 수출물량 확대로 97.0%나 증가했으며, 철강(38.7%), 석유화학(36.1%), 반도체(23.6%)도 국제가격 강세 등에 힘입어 높은 증가세를 이어갔다.
지역별로는 중국(23.2%), 일본(22.1%), ASEAN(25.0%) 등 인접국가와 인도(31.0%), 러시아(28.7%), 중남미(47.2%) 등 신흥시장으로의 수출도 활발했다.
수입은 원유수입 증가율 하락에도 불구하고 금속광물, 석유화학제품 등 원자재 수입 증가로 25.9%, 자본재 수입도 항공기, 반도체장비 등 특수산업용기계 수입이 늘어나면서 28.8%, 소비재는 1차산품과 경공업제품 등의 수입이 크게 늘어나면서 38.9%씩 각각 늘었다. 특히 삼성전자 8세대 라인 증설에 따른 반도체업계의 설비투자와 태풍·장마 피해에 따른 농산물 수입 확대가 증가세를 이끌었다.
산업자원부 관계자는 "10월은 추석연휴에 따라 조업일수가 적어져 수출증가율이 한자릿수로 떨어질 수 있지만 세계 IT경기 회복에 따른 반도체·LCD패널 수출호조, 선박수출 증가 등으로 올해 수출목표인 3,180억달러 달성이 가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 "현재 국제유가 추세가 유지된다면 수입 증가율도 상당 수준 낮아져 연간 무역수지 흑자도 당초 전망치인 120억 달러 달성이 가능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산업자원부는 최근 엔화 하락에 따라 대일 무역역조가 확대될 우려가 있어 '환위험관리지원협의회' 등을 통해 엔저 심화에 대한 대응을 강화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