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3 (목)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자동차등록대수 1600만대 시대 돌입

건설교통부는 국내 자동차등록대수가 지난 1997년 7월 1000만대를 넘어선 이후 10년 만에, 2005년 2월 1500만대를 넘어선 이후 2년 만에 20일 현재1600만3071대인 1600만대를 돌파했다.

  

이로써 우리나라는 미국, 일본, 독일, 캐나다 등에 이어 세계 13번째 자동차 보유국으로 부상하게 됐다.

  

지난 1년여 동안(06.1.1~07.2.20) 차량증가대수는 약 60만6000대로 월평균 4만4213대, 하루평균 1458대 증가했고, 신규등록차량은 월평균 10만2667대, 하루평균 3385대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동차 등록대수 증가율은 2002년까지 8%수준을 보이다가 2003년 이후에는 3%선에 머물러 국내 자동차 시장이 완만한 성장세인 성숙단계에 들어선 것으로 보인다.

  

자동차 1대당 인구수는 3.06명으로 1997년 4.48명에 비해 대폭 낮아졌으나, 주요 선진국 수준에는 아직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1세대당 자동차 보유대수도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1세대당 1대씩의 자동차 보유시대가 다가옴을 알 수 있다.

용도별로는 자가용 차량이 94.5%를 차지하는 한편, 자가용 승용차가 70.7%로 국내차의 대부분을 점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0년 동안 자동차 보유와 관련한 가장 특징적인 변화는 1500cc 이상의 중대형 차량에 대한 선호가 1997년에는 40.2%에서 올해 2월 현재 64.7%으로 크게 증가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고유가 현상의 지속에도 불구하고 중대형차에 대한 선호가 여전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휘발유차의 점유율이 1997년 67.5%에서 올해 2월 49.7%로 하락한 반면 같은 기간 경유차는 28.3%에서 36.9%, LPG차량은 3.8%에서 12.9%으로 증가했다. 이는 국제적인 고유가로 인해 연료비가 비교적 저렴한 경유차량과 LPG차량을 선호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반면 수입 자동차의 경우 모두 23만1000대로 전체 자동차 등록대수 중 1.45%를 점유하는데 그쳤으나, 전체 내수 시장의 정체에도 불구하고 2001년 이후 연평균 40%으로 작년까지 연평균 39.2% 수준에 육박하는 판매증가라는 괄목할 만한 신장세를 보이고 있다.

  

수입국별로는 EU차가 1위를 고수한 반면, 일본차의 시장점유율이 지속적으로 높아져 미국 자동차를 제치고 국내시장 점유율 2위를 기록했다.

  

건설교통부는 2014년경 자동차 등록대수가 2000만 대에 도달할 것으로 보고 이에 대비하여 종합적인 자동차 관리·안전 대책, 교통시설 확충·교통수요관리대책을 추진할것이다.

  

▲ 자동차 안전성 지속적 향상

자동차 안전도평가 항목을 2011년까지 10개로 확대(현행 5개)하고 자동차 부품 자기인증제도 시행(2008년)·새차증후군 관리기준(2007년)을 마련하는 한편 친환경 자동차 상용화에 대비, 하이브리드 자동차 안전기준을 2009년까지 마련하기 위해 적극적인 연구개발사업도 추진할 계획이다.

  

또 미검증 교환용 부품의 유통을 차단하기 위한 자동차 부품인증제도를 내년 시행할 계획이다.

  

▲ 자동차 관리체계 개선

내년에는 자동차 검사와 배출가스 정밀검사를 통합하는 종합검사제도를 도입하고, 지역단위의 자동차 등록·검사 업무를 전국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개선할 계획이다.

  

또, 리콜전 소비자가 자신의 비용으로 수리를 한 경우 이를 보상해 주는 리콜전 수리비용보상제도를 시행하고 중고차 온라인 거래시 상품정보 제공의무 등도 제도화 할 계획이다.

  

▲ 교통시설확충, 교통수요관리도 강화

늘어나는 자동차로 인한 교통혼잡을 줄이기 위해 고속도로를 2011년까지 4000㎞로 확충(2006년 3103㎞)하고, 철도는 2011년까지 3626㎞까지 확충(2006년 3379㎞)하며, 이중 66% 수준까지(현재 53%)를 전철화할 계획이다.

  

또, 도시교통의 핵심역할을 하고 있는 도시철도(지하철)를 2011년까지 566.3㎞까지 확충(현행 482.1㎞) 하고, 2012년까지 대도시권의 주요 간선교통축 22개 구간(549.4㎞)에 정시성과 수송능력이 뛰어난 긴급간선버스(BRT)를 건설할 계획이다.

  

아울러, 도심 주차상한제 확대, 기업체의 교통량 감축프로그램 참여의 유도 등 교통수요를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도심 지역의 불필요한 자가용승용차 운행을 억제하고, 광역버스정보시템(BIS), 실시간환승교통종합정보시스템(TAGO) 등 교통정보 이용시스템을 확대하여 대중교통 이용자 편의도 확대할 계획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