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2 (수)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인천세관 수출 39%증가 수입 2%감소

인천, 두 자릿수 수출증가세 계속 이어져

승용차와 부품 수출호조로 전국평균 수출증가율 세배 넘어

  

2007년 2월 수출은 전년 동기대비 39% 증가한 14억5000백만$, 수입은 2% 감소한 17억4000백만$로 무역수지는 1월(4억5000백만$ 적자)에 비해 대폭 개선된 2억9000만$인 적자를 기록했다.

  

인천지역 수출입실적

                                                      (단위:백만불, %)

구      분

2006년

2007년

증감율(%)

2월

누계

2월

누계

2월

누계

수      출

1041

2092

1451

2978

39

42

수      입

1768

3350

1741

3719

-2

11

무역수지

-727

-1258

-290

-742

-

-

 

자동차 수출호조가 전체 수출 증가세 견인


수출은 인천지역의 주요 수출품목인 수송장비(수출비중 34%)와 철강제품군(수출비중 12%)과 화공품(수출비중 6%) 등의 증가에 힘입어 전년 동기대비 39%의 증가율 기록했다.


수송장비 중 주력수출품목인 승용차(전년동기대비 207% 증가)는 지엠대우오토앤테크놀러지(주)의 유럽, 호주, 미국 등지로의 수출호조로 인천지역 전체 수출증가세를 견인하고 있으며 수출비중(‘06.2월 11.2% → ’07.2월 24.7%) 또한 점점 높아지는 추세다.

  

철강제품군의 주력수출품인 철강의 봉과 형강류는 현대제철(주), 현대종합상사(주)의 카나다, 이스라엘 등지로의 수출증가로 전년 동기대비 71% 증가했다.


SK인천정유(주), SK(주)가 중국등지로 벤젠,크실렌 등 유기화합물 수출이 전년 동기대비 44% 늘어나고 지난해까지 세계적인 제약회사인 미국의 브리스톨마이어스에 테스트용 샘플 위주로 납품하던 (주)셀트리온의 원료의약품이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상용 공급됨에 따라 의약품 수출이 전년 동기대비 477% 늘어난 데 힘입어 화공품 수출이 전년 동기대비 30%로 증가했다.

  

국가별로는 EU(19%), 동남아(16%), 미국(14%), 중국(14%) 4개국이 전체 수출실적의 63%를 차지하고 있다.

  

수입은 원자재(수입비중 71%) 반입이 줄어 전년대비 2% 감소

원유와 철강제품 등을 제외한 대부분의 원자재 수입 증가세 둔화와 가스반입량이 대폭 줄어 전체수입액은 감소세로 반전했다.


원자재 개별품목 중 가장 높은 수입비중을 차지하는 가스(수입비중 28%)의 반입량이 전년동기대비 36% 감소하여 전제수입액의 감소로 이어졌으며 알루미늄 수입액 또한 전년동기대비 43% 감소했다.


기계류 수입액은 자동차와 산업장비 생산에 필요한 금속가공 공작기계, 프레스 등의 수입이 증가하여 전년 동기대비 23% 증가했다.


반도체 수출 증가세가 둔화됨에 따라 관련 부품인 전기·전자기기 수입액이 전년 동기대비 7% 감소하는 대신 철강제품 제조용 원료인 무쇠가 전년 동기대비 44%, 목재류의 수입액이 전년 동기대비 39%로 증가했다.

  

무역수지는 전년동기보다 적자폭이 4억3600만$ 감소한 2억8900만$ 적자를 나타냈다. 비중이 높은 에너지류 수입액이 전년 동기대비 18% 감소하고 자동차 등의 수출호조로 전체무역수지는 적자폭이 대폭 축소됐다.


對개도국에는 3억5000백만$ 적자를, 對선진국에는 6200만 달러의 흑자 기록했으며, 국가별로 흑자는 자동차와 부품수출 호조로 EU에 167백만$, 미국에 102백만$을 기록했으며 적자는 원유를 수입하는 중동지역에 △349백만$, 엔화가치하락에 따른 기계류 등 부품수입증가로 일본에 △115백만$를 기록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