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7 (수)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산자부, MOT학위과정 도입된다

 기술과 경영이 컨버전스(융합)된 인재양성

산자부, 21일 기술경영 인력양성 사업 공고

 

빠르면 올 2학기중 대학에 기술경영(MOT) 석사 학위과정이 도입, 운영될 예정이다. 이와 함께, 대학내에 학부생을 대상으로 하는 기술경영 소양강좌와 산업계 등 현장 실무자를 대상으로 하는 단기 전문가 교육과정도 병행 실시될 계획이다.

  

산자부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기술경영 전문인력 양성방안을 지난 4월20일 제4차 기술이전및사업화정책심의회(위원장: 산자부 장관)에서 확정하고, 이에 대한 세부 사업공고를 6월21일부터 실시한다.

 

그간 기술력을 바탕으로 창업한 벤처기업이 쉽게 쓰러지는 이유는 경영능력의 부재가 그 원인으로 지적되어 왔다. 기술은 기술자가, 경영은 경영자가라는 이분적 방식과 현재의 기술과 경영이 분리된 교육과정으로는 벤처창업 또는 기술사업화에 성공할 수 없다.

  

국내 기업의 이공계 CEO(최고경영자) 비율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최근 30∼40% 수준으로 이러한 인력을 체계적으로 양성하기 위한 교육과정이 미흡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고 기업의 인력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산업자원부는 기술경영 교육의 도입을 추진했다.

 

기술경영 전문인력은 기술개발에서 사업화에 이르는 R&D 전주기 과정과 기업내 기술혁신관리에 있어 핵심적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1990년대에 MIT 경영대학원내에 학위과정이 개설되면서 본격적으로 보급되기 시작한 학문으로, 기술지식과 경영지식을 함께 갖춘 인재양성을 목적으로 하고 있고, MBA(경영학 석사) 교육은 경영의 관점에서 사업이 시작된 시점에서 출발하는 반면, MOT 교육은 기술의 관점에서 기술탐색부터 사업화에 이르는 기업의 기술혁신관리에 초점을 두고 있다.

  

국내에 기술경영과 관련한 전문인력은 연간 400여명이 양성되고 있으나, 교육내용, 배출인력수 등에 있어 기술경영 교육은 초기단계 수준에 머물러 있어, 산자부는 이번년부터 기술경영 전문인력 양성사업을 통해 2010년까지 연간 2500여명 수준의 기술경영 전문인력을 양성할 계획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이미지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