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0 (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경제가이드

SM벡셀, 납축전지 기반 ESS 기술 확보…수명 10년 안팎·안전성 강화

SM벡셀, 납축전지 기반 ESS 기술 확보…수명 10년 안팎·안전성 강화



SM그룹 계열사 SM벡셀 배터리사업부문이 리튬이온 배터리 ESS에 이어 납축전지를 활용한 장주기 대용량 ESS 기술을 확보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로써 리튬이온과 납축전지 두 축의 솔루션을 갖추고 국내외 ESS 시장 공략을 본격화한다.

회사에 따르면 납축전지 전극에 활성탄을 도포해 전극 표면에 형성되는 황산납 결정 생성을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열화 속도를 낮췄다. 적용 시 ESS 배터리 수명은 종전 약 7년에서 10년 안팎으로 개선될 것으로 예상된다.

원가 측면에서는 수입 활성탄 대신 전남대학교 김융암 교수팀의 표면개질 기술을 적용한 바이오매스 활성탄을 사용해 경제성을 확보했다.

납축전지 ESS는 재활용 용이성, 장주기 운전 적합성, 화재 시 열 폭주 억제와 진화 용이성 등 안전성과 비용 경쟁력이 강점으로 꼽힌다. 반면 리튬이온 ESS는 에너지 밀도와 경량화에서 이점이 있으나 화재 확산 위험과 원자재 가격 부담이 한계로 지적된다.

SM벡셀 배터리사업부문은 방산용 리튬 전지 양산 라인을 운영 중이며, 축적된 2차전지 제조 역량을 바탕으로 납축전지 전극에 탄소를 첨가한 배터리 커패시터 기술 등을 앞세워 ESS 분야에서 경쟁력을 높인다는 계획이다. 주요 적용 분야로는 무정전전원장치와 발전용 ESS가 거론된다.

오정석 기술연구소장은 4년여간의 과제 수행으로 확보한 납축전지 기반 배터리 커패시터 기술과 기존 리튬이온 기술을 양 축으로 시장 공략을 가속화하겠다고 밝혔다. 최세환 대표이사는 납축전지와 리튬이온 기반의 다양한 ESS 솔루션을 지속 개발해 안전성과 친환경성을 강화하고 국내외 사업 기반을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