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원장 조정희)과 강원대학교(KNU, 총장 정재연)가 2025년 11월 7일 금요일 강원대학교 춘천캠퍼스에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두 기관은 학술·연구 협력을 촘촘히 묶어 국가 해양수산 정책의 실행력을 높이고, 강원특별자치도를 비롯한 지역 해양수산 산업의 현장 문제를 함께 풀어가는 협력 모델을 만들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이번 협약은 “연구 결과가 책상 위에 머물지 않도록 지역 현장과 바로 연결한다”는 데 방점이 찍혀 있다. KMI가 보유한 정책 연구 역량과 통계·데이터 분석 기반을 바탕으로, 강원대의 학과·연구소·현장 네트워크와 교육 인프라를 연동해 정책 수요를 빠르게 파악하고 해결책을 공동 설계하는 방식이다.
협력 범위는 크게 세 갈래다. 첫째, 공동 학술행사 개최다. 포럼·세미나·워크숍을 정례화해 연구 성과를 공유하고, 중앙정부·지자체·산업계 의견을 한 자리에서 수렴한다. 둘째, 공동연구와 정책 대안 마련이다. 어촌·양식·항만·물류·해양관광 등 지역 현안을 주제로 과제를 함께 발굴하고, 법·제도 개선이 필요한 사안은 정책 제언으로 구체화한다. 셋째, 인력양성과 교류다. 학생·연구자·실무자를 잇는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해 현장에서 바로 쓰이는 전문성을 키우고, 인턴십·현장 실습·캡스톤 프로젝트 등으로 이어지게 한다.
정재연 총장은 강원대가 “강원특별자치도의 국가거점국립대학”이라는 점을 강조하며, 이번 협약을 통해 “국가 해양수산 정책과 지역 산업이 함께 커지는 학연협력 모델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조정희 원장은 “각 기관의 전문성과 자원을 묶어 학술 교류, 공동연구, 인재양성 전반에서 협력을 넓혀 해양수산과 지역이 함께 성장할 기반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핵심은 실행 체계다. 협약서에는 공동 과제의 의제 선정부터 연구·검증·정책화까지 단계별 역할을 나누고, 결과물을 정부와 지자체 정책 과정에 연결하는 절차를 마련한다는 취지가 담겼다. 이 과정을 통해 연구는 현장성을 확보하고, 지역은 과학적 근거를 갖춘 정책과 사업을 확보해 상호 보완 효과를 거두는 구조다.
두 기관은 협약 체결 직후 실무협의 채널을 가동해 내년도 공동 의제 후보를 추린 뒤, 분기별 점검을 통해 과제 관리와 성과 확산을 병행할 계획이다. 첫해에는 학술행사와 교육 프로그램을 빠르게 띄워 네트워크를 넓히고, 수요가 확인된 분야부터 파일럿 공동연구를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