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O, 디지털 해운 시대 대응 위한 스마트십 국제표준화 본격화

자율운항선박(MASS)의 국제적 기술표준 수립이 본격화된다. 국립한국해양대학교 이서정 교수 연구팀은 자율운항선박의 소프트웨어 기능안전 확보를 위한 국제표준 개발 작업을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공식 착수했다고 밝혔다.
이번 표준 개발은 11월 11일부터 14일까지 일본 고베에서 열린 ‘ISO TC 8/SC 26 국제표준화 회의’에서 결정됐다. 이 회의에서 이서정 교수팀이 제안한 ‘자율운항선박용 소프트웨어 기능안전 국제표준’이 노르웨이, 영국, 미국, 일본 등 12개국의 지지를 받아 신규 국제표준안(ISO/AWI 25928)으로 채택됐다.
해당 표준은 산업통상자원부 국가표준기술력향상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되며, 이서정 교수가 프로젝트 리더를 맡아 국제 논의를 주도한다. 이창의 교수가 함께 참여해 기술 검토와 표준 개발을 지원하고 있다.
이번 표준은 자율운항선박이 직면한 복잡한 운항환경, 원격조종 및 AI 기반 판단 구조 등 특수한 조건을 반영해, 이에 적합한 소프트웨어 기능안전 관리 체계를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실시간 센서 융합과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이 안정적으로 작동하기 위한 기능안전 프레임워크 구축이 핵심이다.
기능안전 표준은 이미 ▲자동차 분야의 ISO 26262 ▲항공 분야의 DO-178C ▲철도 분야의 EN 50128 등에서 적용되고 있으나, 해양 분야는 관련 국제표준이 부재한 상태였다. 특히 스마트십과 자율운항 기술이 빠르게 확산되는 상황에서 해양 분야 소프트웨어 안전 기준 마련이 시급하다는 공감대가 형성돼 왔다.
또한 국제해사기구(IMO)가 추진 중인 자율운항선박 강제규정(MASS Code)과 연계되는 기술 기반 마련 필요성도 지속 제기돼 왔다. 이번 표준은 향후 해당 규정의 기술적 실행을 뒷받침하는 기반으로도 주목된다.
이서정 교수는 “이번 회의에서 한국이 주도한 표준 제안이 공식 개발로 이어진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진전”이라며 “해당 표준은 MASS 실증과 IMO 규정 대응에 모두 활용될 수 있는 안전성 검증 체계로 기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한국이 중심이 되어 각국 전문가들과 협력해 신뢰받는 글로벌 표준을 완성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번 성과는 국립한국해양대학교가 자율운항선박 기능안전 분야에서 국제표준화의 주도권을 확보하는 이정표가 될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