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두산에너빌리티가 자체 개발한 ‘핵분열 제어봉 구동장치 노즐(CEDM 노즐)’로 ‘IR52 장영실상’을 수상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수상은 전량 수입에 의존하던 원전 핵심 부품의 국산화를 실현한 데 따른 성과로, 기술 자립과 산업 경쟁력 제고 측면에서 의미를 더하고 있다.
CEDM 노즐은 원자로 내 제어봉을 안정적으로 움직이게 하는 부품으로, 제어봉을 넣고 빼며 원자로 출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돕는다. 원자로 헤드에 부착돼 핵분열 제어를 담당하는 이 장치는 그동안 해외 소수 업체가 독점 생산해 국내 원전 업계는 전량 수입에 의존해 왔다.
두산에너빌리티는 소재기술개발팀 김영득 수석을 중심으로 연구원과 사업부 간 협업을 통해 약 45개월에 걸쳐 CEDM 노즐의 국산화에 성공했다. 해외 경쟁사와 동등한 품질을 확보하면서도 가격은 약 20% 낮췄고, 납기 역시 절반으로 단축하는 성과를 거뒀다. 이를 기반으로 2022년에는 교체사업, 2023년에는 신규사업 수주를 따내며 현재까지 약 610억 원의 수주 실적을 기록했다.
IR52 장영실상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최하고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가 주관하는 상으로, 국내 기술혁신 우수 사례를 발굴하고 연구개발 의지를 북돋기 위해 제정됐다.
송용진 전략/혁신부문 사장은 “그동안 수입에 의존했던 핵심 부품의 기술 자립에 성공한 데 이어, 이를 정부로부터 인정받게 되어 매우 뜻깊다”며 “확보한 기술을 국내 중소기업과 공유해 산업 생태계를 함께 키우고, 향후 소형모듈원전(SMR) 등 다양한 분야로 기술을 확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시상식은 20일 서울 더 리버사이드 호텔에서 열렸으며, 두산에너빌리티 송용진 사장과 함께 김영득 수석, 이민복 수석 등이 참석해 수상의 기쁨을 나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