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5 (화)

  • 흐림동두천 4.9℃
  • 흐림강릉 9.1℃
  • 흐림서울 6.1℃
  • 흐림대전 7.0℃
  • 구름조금대구 7.4℃
  • 맑음울산 7.3℃
  • 구름많음광주 7.8℃
  • 맑음부산 9.1℃
  • 흐림고창 7.8℃
  • 흐림제주 11.2℃
  • 구름많음강화 5.1℃
  • 흐림보은 6.0℃
  • 흐림금산 6.9℃
  • 구름많음강진군 8.7℃
  • 맑음경주시 7.1℃
  • 맑음거제 9.1℃
기상청 제공

해양계교육

국립한국해양대, 부산지역 친환경 건설기술 실증 인프라 구축 나서

국립한국해양대, 부산지역 친환경 건설기술 실증 인프라 구축 나서
지산학 협력 통해 광물탄산화 기반 레미콘 회수수 처리 기술 현장 적용

국립한국해양대학교 교수 창업 연구소기업 ㈜ConcretePW(대표 박동천·위광우 교수)를 비롯해 ㈜동서산업, 롯데건설㈜, ㈜삼표시멘트, ㈜파나시아 등 5개 기관이 부산지역의 지속가능한 도시 실현을 위해 친환경 건설기술 협력을 강화하고 실증 인프라 구축에 나섰다.

이들 기관은 지난해 12월 광물탄산화 기술을 활용한 레미콘 회수수 중화처리 및 저탄소 건설기술 공동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 이후, 지속가능한 건설 생태계 조성을 위한 기술개발과 실증전략을 지속적으로 논의해 왔다.

이러한 협력의 일환으로, ㈜ConcretePW 연구팀은 지난 5월 부산테크노파크의 ‘2025 지산학 협력 기업사업화 지원사업’에 선정되며 실증을 위한 기반을 확보했다. 그 결과 ㈜동서산업의 레미콘 공장 내에 광물탄산화 기반 중화처리 장치를 구축하고, 고알칼리성 레미콘 회수수에 이산화탄소를 미세기포 형태로 주입해 친환경 고품질 콘크리트를 생산할 수 있는 기술 체계를 마련했다.

이 기술은 국내 최초로 건축 시공 현장에 광물탄산화 기술을 적용해 레미콘 회수수의 환경 부담을 줄이는 동시에 탄소 저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의의가 크다.

또한 지난 17일에는 4개 협력 기관이 장치 구축 완료를 기념해 모임을 갖고, 향후 기술의 고도화, 현장 실증 타설 및 장기 모니터링 등 저탄소·자원순환형 건설기술의 확산을 위한 협력을 지속해 나가기로 했다.

이번 협력 사례는 부산 지역 건설 산업이 친환경 중심으로 전환하는 데 핵심적인 기반이 될 것으로 평가되며, 산학연이 함께 만드는 지속가능 도시 구현의 대표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국립한국해양대학교는 “해양 및 건설 분야의 전문 인력 양성뿐 아니라 우수한 연구 성과가 산업 혁신과 환경 문제 해결로 이어질 수 있도록 기술 사업화 및 창업 지원을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