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2 (월)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취업가이드

기업 96%, 면접에서 말 잘하면 합격에 유리

기업 96%, 면접에서 말 잘하면 합격에 유리


대부분의 기업은 면접 시 지원자의 말솜씨 등 의사소통 능력을 평가에 반영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온라인 취업포털 사람인(www.saramin.co.kr 대표 이정근)이 기업 인사담당자 397명을 대상으로 “면접 시 지원자의 의사소통 능력이 평가에 영향을 미칩니까?”라고 질문한 결과, 무려 96.2%가 ‘그렇다’라고 답했다.


의사소통 능력을 평가에 반영하는 이유로는 ‘원활한 내부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해서’라는 응답이 51%(복수응답)로 가장 많았다. 이어 ‘직장인이라면 필수로 갖추어야 해서’(44.5%), ‘대인관계가 원만할 것 같아서’(35.1%), ‘인성을 파악할 수 있어서’(34.3%), ‘사람을 상대하는 업무라서’(33%), ‘소통 외 업무능력도 뛰어날 것 같아서’(29.1%) 등이 있었다.


의사소통 능력을 가장 많이 보는 직무 분야는 ‘영업/영업관리’(41.1%)가 1위를 차지했다. 계속해서 ‘마케팅/홍보’(14.7%), ‘판매/서비스’(10.2%), ‘기획/전략’(8.6%), ‘회계/총무/인사’(7.1%), ‘생산/기술’(4.2%) 등의 순이었다.


또, 응답자의 77.5%는 스펙은 부족해도 의사소통 능력이 뛰어난 지원자를 채용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렇다면, 합격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의사소통 능력은 무엇일까?
먼저 언어적 요소로는 ‘명료함, 논리성’(68.6%, 복수응답)을 첫 번째로 꼽았다. 다음으로 ‘솔직함’(57.6%), ‘표현력’(49.5%), ‘간결함’(18.6%), ‘어휘, 문장력’(16%), ‘참신함’(16%), ‘유머스러움’(8.4%) 등의 응답이 이어졌다.


비언어적 요소로는 ‘말하고 듣는 태도’(75.3%, 복수응답)를 가장 많이 선택했다. 이외에도 ‘얼굴 표정’(57.7%), ‘자세’(50.4%), ‘시선 처리’(43%), ‘발음’(18.9%), ‘말하는 속도’(17.6%), ‘소리 크기’(16%), ‘외모’(15.5%) 등이 있었다.


사람인의 임민욱 팀장은 “짧은 시간 동안 평가가 진행되는 면접에서는 남들보다 자신의 역량을 조리 있게 표현할 수 있는 지원자가 유리할 수밖에 없다”라며 “평소 실전모의면접 등을 활용해 본인의 말하는 방식과 듣는 태도를 점검하고, 부족한 부분을 보완해 나가는 노력이 필요하다”라고 덧붙였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이미지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