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2 (수)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비극의 리앙쿠르대왕 독도강치

지금은 멸종되었다고 여겨지는 비극의 바다 짐승 독도 강치. 일본은 일본 강치라 부르고 있다. 일본 자신이 독도에서 수많은 강치를 남획해서 멸종시켰음에도 불구하고 말이다.

  

독도에는 가제바위등 주변에 강치가 쉬기에 꼭 좋은 바위가 많고 난류와 한류가 뒤섞여 먹이가 풍부해 강치들의 천국이었다. 독도강치는 일본어부들에 의해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에 남획되어 그 수가 급격히 줄어들었다.

  

이후 일본인 강치잡이 나카이 요사부로는 독도에서 1904년부터 8년 동안에 1만4000마리의 독도 강치를 포획했다. 물론 이 수치는 공식적으로 집계된 수치일 뿐이다. 비공식 수치를 더하면 그 수는 가히 천문학적일 것이다.(사진:가제바위에서 쉬고있는 독도강치)

  

포획된 독도 강치는 가죽은 가방 등 피혁 제품으로, 피하지방은 기름으로, 살과 뼈는 비료로 이용되고, 어린 새끼는 생포되어 서커스용으로 팔렸다.(사진:리앙쿠르 대왕-산베자연관)

  

이 사진은 독도에서 독도강치잡이가 성행하던 시절, 포획을 하던 어부들이 '리앙쿠르 대왕'이라 부르며 두려워했던 가장 큰 수컷 강치다.

  

리앙쿠르는 일본인들이 근세들어 독도를 부르던 이름이다. 이 강치 박제는 텐노우지(天王寺) 동식물공원에 전시되어있다가 현재 산베자연관에서 전시중이다.

 

어부가 발사한 포환의 탄환에도 겁먹지 않고, 강치망을 입으로 찢거나, 배를 습격하기도 해서 어부들의 공포의 대상이었던 이 리앙쿠르 대왕도 1931년 7월 하순 사살된다.(사진:일본에서 독도강치의 가죽으로 만든 가방)

  

사살된 이 리앙쿠르 대왕의 모피와 주요 뼈들은 가져가 이 박제로 재현되었고, 오사카 동물원에서 개최된 납량전(納涼展)에 전시되었던 기록도 남아있다고 한다.

  

몸길이 2.88m, 몸 둘레 3.1m, 예상체중 750kg을 넘는다고 기록되어 있는데, 세계 최대급 독도강치라고 말할 수 있다. 다 자란 독도강치의 박제표본은 세계에서 이 리앙쿠르 대왕 단 하나밖에 남아있지 않다고 한다. 이제 세계에서 가장 크고 가장 영리했던 독도 강치는 멸종하여 다시는 그 모습을 볼 수가 없어 안타까움을 남기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