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20 (금)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속보:채권단 이견으로 워크아웃 C&중공업 존폐기로

채권단 자금배분 떠넘기기 3주째 공방 조정위 금융당국 강건너 불구경

긴급운영자금 차질...플로팅도크와 엔진 등 조선 핵심분야 중도금 못줘


C&중공업에 대한 긴급자금지원이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 개시 결정 이후 3주가 지나도록 지연되면서 해당 업체와 관련 협력업체들이 막심한 경영난을 겪고 있어 금융권의 대책 마련이 화급한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지난 3일 C&중공업 채권단이 워크아웃 개시 신청을 받아들일 당시 긴급운영 자금지원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90%이상의 찬성을 해놓고도 자금배분문제를 놓고 서로 떠넘기기에 허송세월을 보내고 있어 사태의 심각성이 커지고 있다.


첫배를 인도하기 위해 조립중이던 엔진과 해상으로 배를 유도하기 위한 플로팅도크(사진)의 대금결제가 미뤄지고 있어 자칫 몰수위기를 맞고 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C&중공업측과 협력업체에서는 채권단이 워크아웃 개시를 받아들인 의도(?)마저 의심하고 있다.


채권단 12월3일 C&중공업 워크아웃 개시 결정= C&중공업은 당초 워크아웃 개시를 요청하는 경영계획서에 긴급운영자금 150억원, 시설자금 1천450억원과 8억7천500만 달러의 선수금 환급보증서(RG)발급 등을 골자로 한 내용을 채권단에 요청했다.

 


이에 대해 채권금융기관들은 90% 이상의 찬성으로 워크아웃 개시를 지난 3일 결정하면서 1주일 이내에 긴급자금을 지원해주기로 했다.


채권단 9일>19일>29일로 자금배분 회의 연기=지난 9일에 이어 19일 그리고 29일로 자금배분 회의가 3주째 연기되고 있다.


대출채권이 있는 우리은행 등 은행권과 환급보증에 대한 보증채권이 있는 메리츠화재와 수출보험공사 간 자금지원 분담에 대한 이견으로 긴급운영자금 집행이 미뤄지고 있다.


이처럼 C&중공업에 대한 자금 지원이 늦어지고 있는 것은 긴급자금 150억원의 채권기관별 부담비율을 놓고 채권단 내부에서 이견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150억원의 부담비율이 어떻게 정해지느냐에 따라 워크아웃 최종 결정시 C&중공업이 요청한 시설자금 1천450억원과 8억7천500만 달러의 선수환급보증서(RG)발급에 대한 부담비율도 결정될 수 있기 때문이다.


지난 9일과 19일에 각각 있은 채권단 회의에서 보증채권 때문에 최대 채권기관이 된 메리츠화재를 긴급운영자금 배분액의 75.6%로 부담하는 방식으로 결정하려했지만 메리츠측이 반대해 부결됐다.


메리츠화재측은 보증채무를 갖고 있어 대출채권을 갖고있는 우리은행을 포함한 은행 채권단과 동일하게 지원자금을 배분하는 것은 곤란하다는 입장을 주장했다.


메리츠화재는 C&중공업이 지난해 수주한 선박 8척에 대한 선수금(약 9100만달러) 보증채무를 갖고 있다.


이에 메리츠화재는 대출채권자는 일반대출을 지원하고, 선수금 환급보증(RG) 등 보증채무자들은 추가로 RG를 보증하고 보증채무를 떠안는 형태로 자금을 지원하는 수정안을 제시했지만 대출채권을 소유한 금융기관의 반발로 무산됐다.


향후 자금지원에서 긴급지원자금 150억원 배분 방식이 선례가 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채권기관간 눈치작전이 극심했기 때문이다.


기업구조조정 촉진법에 따라 보증채권에 대해서는 채권단협의회에 가입하지 않은 것을 내세워 메리츠화재측에서는 긴급운영자금과 시설자금에 대한 부분은 빠지고 이후 발생되는 수주한 선박에 대한 보증채무(RG)에 대해서는 추가 부담을 하겠다는 것이다.


조정위원회와 금융당국도 강건너 불구경=이같이 채권단간 첨예한 이해상충을 조정하기 위한 채권금융기관 조정위원회도 두고 있지만 이 마저도 채권단간 이해관계를 내세워 상정자체도 막고 있어 워크아웃 개시 이후 상황은 더욱더 꼬여만 가고 있다.


이처럼 우리은행 등 은행 대출채권단과 선수금 환급보증 보증채권을 가진 메리츠화재과 수출보험공사간 분담비율 문제가 쉽게 해결되지 않으면서 긴급자금 지원이 실제 이뤄질 수 있을지에 대한 우려감이 증폭되고 있다.


게다가 최근 의사결정권을 갖고 있는 우리은행 임원과 수출보험공사 임원들마저 인사가 있어서 이들이 업무파악을 빌미로 결정을 늦출 경우는 최악의 상황으로 까지 치닫을 수 있다.


C&중공업 사면초가 위기= C&중공업은 긴급자금이 들어오면 '플로팅 도크'의 밀린 대금을 지급하고 협력업체에도 체불금 일부를 지급해 잠시나마 막힌 자금줄의 `숨통'이 트일 것으로 기대했다.


그러나 채권단이 당초 일정에 맞게 자금지원을 하지 않은채 차일피일 지연시키는 바람에 워크아웃 개시로 자금 유동성 위기에서 벗어나려 했던 C&중공업은 이대로 가다가는 회사 자체가 존폐의 기로로 갈 수밖에 없다며 발만 동동 구르고 있다.


특히 육상에서 건조한 선박을 바다로 끌고 가 해상에 띄우는 `플로팅 도크'는 내년 6월로 예정된 C&중공업의 첫 배 진수에 필요하고 금융권으로부터 RG를 받는 데도 필수적이어서 더욱 애를 태우고 있다.


제작비만 3천650만달러가 투입된 `플로팅 도크'는 국내 제조사가 없어 중국에서 건조 중이다. C&중공업이 지난해 상반기 1.2차 중도금을 지급했지만 유동성 위기에 빠지면서 1천만달러의 3.4차 중도금을 4개월째 주지 못하고 있다.


더군다나 C&중공업에 대한 자금지원이 늦어지면서 엔진 및 협력업체들은 체불금을 받지 못해 워크아웃 최종 결정이 나기도 전에 회사의 존폐마저 위협받고 있다.

 

정부가 20조원 규모의 은행권 자본확충펀드를 조성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금융기관을 살려 이들로 하여금 기업 등 실물부문을 지원하려하고 독려하고 있는 것과는 딴판인 셈이다.


금융권이 자신들의 잇속을 챙기기 위해 시간을 끌고 있는 사이 개별기업들은 마지막 숨마저 쉴 수 있을지 가늠할 수 없는 형국으로 치닫고 있는 것이다.


한편 C&중공업은 워크아웃 개시결정 이후 채권단 실사를 앞두고 있으며 자산, 부채 실사와 계속기업 가능 여부의 평가 결과 계속가치가 청산가치보다 크다고 판단되면 경영정상화 방안을 수립해 본격적으로 기업개선 작업에 나서게 된다.


C&중공업은 채권단의 워크아웃 개시가 결정될 경우 기존에 제출한 경영계획서를 기반으로 이미 수주받은 8만톤급 벌크선 60여척(30억달러규모)을 예정된 기일에 선주들에게 인도해 유동성 위기에서 벗어날 방침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