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重 국내 첫 LNG-FPSO 독자모델 개발
Hyundai FLNG 노르웨이 DNV로부터 기본설계승인
年 250만톤 LNG 생산, 20만 입방미터급 저장 능력
LNG-FPSO 단독 설계·제작 가능한 세계 유일 업체
현대중공업이 국내 최초로 LNG-FPSO(부유식 천연가스 생산·저장 하역설비) 독자모델을 개발, 고부가 LNG 해양플랜트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현대중공업은 최근 자체 개발한 「현대(Hyundai) FLNG」가 세계적 권위의 노르웨이 선급협회(DNV)로부터 기본설계승인(AIP: Approval In Principle)을 획득했다고 5일(목) 밝혔다.
LNG-FPSO는 심해가스전으로부터 채굴한 천연가스를 전(前)처리하고 영하 163도로 액화·저장·하역할 수 있는 부유식 해상설비로,「현대 FLNG」는 길이 355미터, 폭 70미터, 높이 35미터로 축구장 3.5배 크기이며 연간 250만톤의 LNG를 생산하고 19만3,800입방미터(㎥)를 저장할 수 있다. (사진 : 현대중공업 독자 개발해 최근 노르웨이 선급협회(DNV)로부터 기본 승인을 획득한 「현대 FLNG」의 조감도)
특히 LNG-FPSO는 부유,저장 기능을 하는 하부설비(선체, Hull)와 LNG를 전처리,액화,하역하는 상부설비(Topside)로 구성되는데, 현대중공업은 이번 개발 성공으로 LNG-FPSO의 상,하부설비를 설계에서부터 시운전까지 EPIC(Engineering Procurement Installation Commissioning)방식으로 단독 수행할 수 있는 세계 유일의 업체가 됐다.
「현대 FLNG」는 기본설계승인을 위해 지난 2011년 말 네덜란드 ‘MARIN연구소(Maritime Research Institute Netherlands)’ 수조(水槽)에서 진행된 모형 테스트에서, 인공 조성된 과거 100년 간 최악의 환경조건 하에서도 바람과 조류(潮流), 파도의 작용 방향에 순응하며 선회하는 터렛 계류(Turret Mooring, 용어설명 참조)에서 완벽한 성능을 과시했으며 육상 플랜트보다 높은 93%의 가동률로 안정성까지 확인했다.
업계에서는 최근 고유가와 일본 원전사고로 인해 천연가스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대형가스전 뿐 아니라 전 세계 2,400여 곳에 달하는 매장량 1억톤 이하의 중,소규모 해양 가스전에도 투입이 가능해 향후 LNG-FPSO 시장 규모가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LNG-FPSO 개발을 담당한 현대중공업 김윤춘 상무는 “「현대 FLNG」는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생산능력을 갖추고 있으며, 약 45개월이라는 짧은 기간 내 제작이 가능하다”며, “앞으로 늘어날 중·소형 가스전 및 대형가스전 개발에 따라 수주에 적극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현대중공업은 세계에서 가장 많은 11기의 초대형 FPSO 제작 경험과 풍부한 LNG 프로젝트 수행 노하우를 갖고 있으며, 지난 2011년 6월에는 세계 최초로 노르웨이 회그(Hoegh)사로부터 LNG-FSRU(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저장·재기화 설비)를 수주한 바 있다.
한편 현대중공업은 2011년 6월 국토해양부 산하 LNG가스 플랜트사업단으로부터 ‘LNG-FPSO 플랜트 설계 및 건설 기술개발 국책과제’의 핵심 주관기관으로 선정돼 2016년까지 한국형 LNG-FPSO 개발에도 나서고 있다.
터렛계류(Turret Mooring)는 선박 등 계류 구조물이 바람, 조류, 파도의 작용 방향에 따라 순응하며 선회하는 계류 방식. 계류삭(선박 따위를 일정한 곳에 붙들어 매는 데 쓰는 밧줄)에 연결되는 터렛이 계류 구조물의 선회축을 형성하는 장치. 최근에는 심해 유전 개발 FPSO의 계류 방식으로 활용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