創刊 7주년특집:국내조선산업 3월말 세계시장 39% 수주
13.8% 660만 CGT증가 탱커 LNG선 주도
산업통상자원부(장관:윤상직)와 한국조선해양플랜트협회는 국내 조선소가 2013년 1분기에 전년동기대비 22.5% 증가한 256만CGT를 수주하며 전세계 선박발주량의 39%를 수주했다고 발표했다.
2008년 이전 조선 호황기시 선박공급과잉, 유럽재정위기로 인한 선박금융 위축이 지속되는 가운데 2013년 1분기 세계 선박발주량은 전년동기(580만CGT)대비 13.8% 증가한 660만CGT를 기록했다.
이는 2011년 1분기(1,061만CGT) 대비로는 37.8% 감소한 수치로, 해운경기 회복 등의 근본적인 수요 증가요인이 없는 가운데 선박 공급과잉이 지속되고 있어, 조선시황 회복 가능성에 대해서는 향후 글로벌 조선시장 동향을 지켜볼 필요가 있다. 다만 최근 친환경, 고연비 선박에 대한 수요 증가와 低선가 지속이 일부 수요증가 요인으로 작용했다.
선박금융 위축과 해운경기 불황 지속 및 ‘08년 이후 수주량 감소 추세로 인해 금년 1분기 세계 선박 건조량은 전년동기(1,351만CGT)대비 29.2% 감소한 957만CGT를 기록했으며, 2013년 3월말 기준 수주잔량은 전년동월말(11,987만CGT)대비 24% 감소한 9,111만CGT를 기록했다.
선박공급과잉 및 선박발주수요 감소로 ‘08년말 이후 감소추세를 보이던 新造선가지수는 ’10.3월 일시 반등한 이후, ‘11.6월부터 지속 하락하였으며, ’12.11월부터 126포인트 수준 유지됐다.
2013년 1분기 국내 조선소는 전년동기대비 22.5%증가한 256만CGT를 수주하며 세계선박발주량의 39%를 차지했다. 특히 친환경, 고연비 선박으로 선주들로부터 경쟁력을 인정받은 국내 조선소의 중형급(5만톤급 내외)탱커 수주가 두드러지면서, 세계 탱커발주(180만CGT)의 57%인 103만CGT 수주했다.
아울러 전세계 발주된 LNG선 8척, 드릴쉽 1척 및 해양플랜트 1기(LNG FSRU)를 국내 조선소가 전량 수주하며 친환경, 고부가가치 선종에 우위가 있음을 재확인됐다.
다만 전년동기대비 선가가 하락하고, 1분기 우리나라 주력 선종인 해양플랜트, LNG선 등 고부가가치선의 전세계 발주량*이 적어 금액 기준으로 31.8% 감소한 56.8억불 수주했다.
2012년 1분기 발주된 주요선종의 국내 조선소 수주: (해양플랜트) 2기 전량 수주, (LNG선) 12척 중 10척 수주, (드릴쉽) 4척 중 3척 수주햇다.
旣 계약된 일정에 의해 선박 건조가 진행됨에 따라 전반적인 수주량 감소 추세가 반영되어 '13년 1분기 국내 조선소는 전년동기(463만CGT)대비 24.7% 감소한 349만CGT(전세계 건조량의 36% 비중)를 건조하였으며, 2013년 3월말 기준 국내 수주잔량은 2,815만CGT로 전년동월말(3,586만CGT)대비 21.5% 감소했다.(전세계 수주잔량의 30.9% 비중)
2013년 1분기 선박류 수출은 전년동기(12,220백만불)대비 26% 감소한 약 8,992백만불(잠정치) 기록했다.
조선산업 침체기('08년 하반기) 이후 수주한 선박이 인도됨에 따라 전반적으로 수출선가 및 물량면에서 전년대비 하락했으며, 드릴쉽 등 고부가가치 선박 인도가 전년동기대비 상대적으로 적어 수출금액 감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