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14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동남아시아 해역에 해적사고 빨간불 켜지다

동남아시아 해역에 해적사고 빨간불 켜지다
해양수산부 위험해역 운항 선박들의 각별한 주의 당부

전 세계에서 해적의 공격은 줄어들고 있는 반면, 동남아시아 해역에서의 해적 사고와 선박 피랍은 오히려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해양수산부(장관 이주영)는 올들어 3분기 해적사고 발생 동향을 발표하고, 해적이 여전히 활발하게 활동 중이므로 소말리아 연안, 서아프리카 기니 만, 동남아시아 말라카·싱가포르 해협 등의 위험해역을 운항하는 선박들은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해양수산부 발표에 따르면 금년 3분기 해적의 공격은 지난해보다 5.3%가 줄어든 178건이 발생하였으며, 선박의 피랍은 70%가 증가한 17건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말리아 해역에서는 연합 해군과 무장한 민간 보안요원의 감시활동에 힘입어 해적 활동이 크게 위축되고, 피랍사고는 단 한건도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서아프리카 해역에서의 해적사고는 주춤하고 있으나, 최근 해적들이 활동영역을 확대(150→170마일)하고 선박을 탈취하여 몸값을 요구하는 등 조직화된 양상을 보이고 있다.
 
동남아 해역에서는 주변국들이 순찰활동을 강화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동기 대비 14% 증가한 113건의 해적사고가 발생했다. 특히 수면 위로 나와 있는 선박 높이가 낮고 속력이 떨어지는 소형 유조선(1,000~2,000톤급)을 주요 공격 대상으로 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우리나라 선박의 경우에는 2011년 5월 이후 아직까지 해적에 피랍된 사례는 없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동남아시아 해역에서 해상강도가 활발하게 활동 중이며 활동영역과 함께 공격대상 선박도 컨테이너선, 산적화물선 등으로 점차 확대되고 있어 절대로 안심할 단계가 아니며,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양수산부는 우리나라 선박과 선원의 해적사고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지난 10월 ‘해적사고 예방 선사 설명회’를 개최하였으며, ‘2014 해적피해 예방·대응에 관한 지침서’를 발간하여 해운선사와 유관기관에 배포하는 등 해적 예방활동을 지속적으로 펼치고 있다.
 
정태성 해양수산부 항해지원과장은 “위험해역 등을 통항하는 우리나라 선박에 대하여 24시간 모니터링을 하고 있다.”고 밝히며, 선사와 선박들도 정부가 마련한 해적피해 예방대책을 철저히 이행해 줄 것을 당부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