갯벌 지킴이 2016년 해양보호구역 시민 모니터링 사업 실시
토착 지식을 가진 지역주민이 직접 참여
토착 지식을 가진 지역주민이 직접 참여
해양수산부(장관 김영석)는 해양보호구역의 효율적 관리와 인식증진을 위해 지역주민이 직접 참여하는 2016년 해양보호구역 시민모니터링 사업을 실시한다.
예전부터 바닷가 주민들은 어류의 포획과 산란시기 등 갯벌의 물때에 따라 변화하는 자연을 아주 가까이에서 오랫동안 관찰하면서 갯벌을 이용해왔다.
2006년부터 시작한 해양보호구역 시민모니터링 사업은 이러한 토착지식을 가진 지역주민들이 직접 오랜기간의 갯벌 관찰을 통해 생태계 변화에 대한 과학적인 기초 데이터를 축적해 정부의 관리정책에 기여할 수 있는 토대가 되며, 조사주기가 길고 일상적인 조사가 어려운 전문가 모니터링을 보완해왔다. 또한, 어린이·학생·일반인 대상 교육·홍보를 통해 지역의 생물다양성을 보존하기 위한 대중인식을 증진시키는 데 의의가 있다.
지난해에는 7개 지방해양수산청의 14개 해양보호구역을 대상으로 시민 모니터링 사업을 실시했다.
‘15년 시민모니터링 결과보고서에 따르면 무안, 신안, 서천갯벌 습지보호지역 등에서는 보호대상해양생물인 대추귀고둥, 흰발농게를 포함한 다양한 저서생물과 멸종위기종인 넓적부리도요, 알락꼬리마도요 등의 바닷새가 관찰되었으며, 대이작도 주변해역 해양보호구역에서는 보호대상해양생물인 대규모 잘피군락이 모니터링 되었다. 이는 해양보호구역의 높은 보전가치를 지역주민이 직접 입증한 의미있는 자료다.
또한, 해양보호구역별 교육·홍보를 통한 지역주민 등의 인식증진 사업도 실시되었다. 어린이 갯벌생태탐방교실, 청소년이 함께하는 갯벌 그린맵 제작, 교사 대상 갯벌교육 및 방과후 교육과정 교재 개발·보급 등 해양보호구역의 대중 인식증진 등에도 크게 기여했다.
올해 해양수산부는 해양보호구역 시민모니터링 사업이 더욱 활성화되도록 해양보호구역 방문자센터와 지역 NGO 중심의 시민모니터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전문가 자문단 지원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사업추진체계를 보완·개선할 계획이다.
또한, 주민 누구나 시민모니터링에 참여할 수 있도록 시민모니터링 운영체계 표준 매뉴얼을 제작·배포할 예정이다. 표준 매뉴얼에는 시민조사자의 눈높이에 맞는 항목별 조사방식과 현장기록지가 제시되어 더욱 활발한 시민모니터 활동과 가치있는 조사결과가 축적될 것으로 기대된다.
박승준 해양수산부 해양생태과장은 “지역주민이 직접 참여하는 사업의 기본 취지를 살려 사업추진체계를 개선해 해양보호구역 시민모니터링 사업을 지속 추진할 것”이라고 말하며, “본 사업은 지역의 관리역량 강화와 인식증진, 그리고 전문가 해양생태계 조사결과를 보완할 수 있는 모니터링 자료 확보 등 해양보호구역 자율형 관리체계 구축에 일석 삼조의 효과를 나타낼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해양수산부는 해양보호구역의 지정 확대와 더불어 지속가능한 이용·관리기반 구축을 위하여 민관산학협력 거버넌스 구성, 해양보호구역센터 확대·강화 등의 내용을 포함한 ‘해양보호구역 관리 종합 방안’을 마련중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