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산업의 핵심 친환경 웰빙 양식수산물 생산 체계로 전환
시장개방 확대 등 경영여건 악화속에 기르는 어업이 지속적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정책지원이 강화된다.
해양수산부는 지난해 수산물 전체생산(3032천톤)량의 42%를 차지하는 등 수산업의 핵심산업으로 성장한 양식어업의 발전을 위해 친환경 양식어업으로 중점 육성해 나갈 계획이다.
이를 위해 고효율 배합사료개발, 권역별 외해 수중가두리양식장 개발, 장기 연작어장의 환경 개선사업을 적극 지원하고, 웰빙식품인 전복·굴·어류·해조류 등 고급 양식수산물의 안정적 생산·공급·수출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웰빙 전복양식 생산량 증가 추이
(단위:M/T,백만원)
연도별 |
총생산 |
양식산 |
자연산 | |||
생산량 |
생산액 |
생산량 |
생산액 |
생산량 |
생산액 | |
2002 |
134 |
1만1596 |
85 |
6352 |
49 |
5244 |
2003 |
1138 |
6만9483 |
1065 |
6만2872 |
73 |
6611 |
2004 |
1342 |
6만6033 |
1260 |
6만1903 |
82 |
7130 |
2005 |
2198 |
10만4512 |
2062 |
9만2813 |
136 |
1만1699 |
2006 |
3165 |
13만831 |
3049 |
11만9911 |
116 |
1만920 |
비율(%) |
100 |
100 |
96 |
91 |
4 |
9 |
특히 기르는 어업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수심이 깊고 조류소통이 양호한 수심 40~70m 정도의 외해에 내파성(耐波性) 수중가두리를 설치해 참조기·민어·능성어·복어 등 고부가가치 어종을 생산하는 외해 수중가두리 사업을 권역별로 실시해 나갈 계획이다.
아울러 양식수산물의 질병과 전염병에 체계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수산동물질병관리법을 제정하고, 부경대에 양식수산물 질병종합병원을 건립하는 등 질병관련연구도 활성해 나갈 계획이다.
양식어장을 체계적으로 관리해 어장환경을 개선하고 생산력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작년 말 마련한 ‘어장관리기본계획 5개년계획’도 차질 없이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특히 올해에는 어류 가두리 저질개선 시범사업을 실시해 어업인이 현장에서 쉽게 적용해 나갈 수 있는 어장정화 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보급해 나갈 계획이다.
일부품목의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으로 초래되는 양식어가의 경영악화를 예방하기 위해 입식·수급동향 등의 관측정보를 제공하는 품목을 1개 품목을 추가해 7개 품목으로 확대하고, 생산자·지자체·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자문그룹 운영도 정례화해 나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