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7 (일)

  • 맑음동두천 32.0℃
  • 맑음강릉 33.9℃
  • 맑음서울 32.7℃
  • 맑음대전 32.8℃
  • 맑음대구 31.6℃
  • 맑음울산 31.0℃
  • 맑음광주 32.3℃
  • 구름조금부산 31.5℃
  • 맑음고창 33.1℃
  • 구름조금제주 29.9℃
  • 맑음강화 30.8℃
  • 맑음보은 30.5℃
  • 맑음금산 30.8℃
  • 맑음강진군 33.3℃
  • 맑음경주시 31.9℃
  • 구름조금거제 29.1℃
기상청 제공

2017년 7월 전국 항만물동량 총 1억 3천234만 톤 처리

2017년 7월 전국 항만물동량 전년 동기 대비 3.7% 증가

2017년 7월 전국 항만물동량, 총 1억 3천234만 톤 처리
2017년 7월 전국 항만물동량 전년 동기 대비 3.7% 증가


▲ 총 괄


해양수산부(장관 김영춘)는 2017년 7월 전국 무역항에서 처리한 항만 물동량이 총 1억 3천234만 톤(수출입화물 1억1천257만 톤, 연안화물 1천977만 톤)으로 전년 동월(1억2천767만 톤) 대비 3.7% 증가하였다고 밝혔다.



포항항 부산항은 전년 동월 대비 22.1%, 8.6% 각각 증가하였으나, 목포항, 인천항은 8.5%, 2.8% 각각 감소하였다.



품목별로 보면 기계류가 전년 동월 대비 22.0%로 증가세를 보였으며, 유류, 시멘트도 각각 11.5%, 8.4% 증가한 반면, 철재는 17.8% 감소하였다.



▲ 비컨테이너 화물


비컨테이너 화물 처리 물동량은 총 9천131만 톤으로 전년 동월(8천932만 톤) 대비 2.2% 증가하였다. 포항항, 대산항은 증가세를 나타낸 반면, 목포항과 인천항 등은 감소세를 보였다.


포항항은 철강재 생산에 필요한 광석의 수입물량 증가, 철재   국내 연안운송 물량 증가 등으로 전년 동월 대비 20.8% 증가하였으며, 대산항은 중동(이란, 이라크, 쿠웨이트 등)지역으로부터 원유 수입물량이 증가하여 전년 동월 대비 7.6% 증가하였다.


반면, 목포항의 경우 자동차 수출 물량이 증가하였지만 철재   운송 물량이 감소하여 전년 동월 대비 7.6% 감소하였으며, 인천항은 무연탄 수입물량 감소, 모래의 연안운송 입항 물량이 감소하여 전년 동월 대비 6.1% 감소하였다.



품목별로 보면 유류, 화공품 물동량이 전년 동월 대비 각각 11.6%, 9.6% 증가한 반면, 철재는 21.0% 감소하였다. 유류는 평택․당진항, 호산항의 석유가스 수입물량, 대산항, 광양항의 원유 수입물량이 증가하여 전년 동월 대비 11.6% 증가하였으며,


화공품은 국내 주요 석유화학제품 생산지역인 울산지역의 화공품 수출 물량이 증가하여 전년 동월 대비 9.6% 증가하였다


반면, 철재의 경우 광양지역에서 생산된 철재 수출물량 감소, 고현항으로 반입되는 연안운송 물량 감소로 전년 동월 대비 21.0% 감소하였다.



▲ 컨테이너 화물


한편, 2017년 7월 전국항만 컨테이너 처리 물동량은 전년 동월(226만 5천 TEU) 보다 3.1% 증가한 233만 6천 TEU*를 기록하였다. 항만별로 살펴보면, 부산항은 전년 동월 대비 3.0% 증가한 175만 2천 TEU를 기록하였다.



수출입화물은 주요 국가들과의 교역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전년 동월 대비 5.3% 증가한 87만 8천 TEU를 기록하였으며,


환적화물은 얼라이언스 재편(‘17.4) 이후 서비스 안정화 등의 영향으로 0.8% 증가한 87만 4천 TEU를 처리하였다.


광양항은 전년 동월 대비 6.3% 감소한 18만 2천 TEU를 기록하였다. 수출입화물은 7.6% 감소한 14만 8천 TEU를, 환적화물은 0.1% 감소한 3만 4천 TEU를 처리하였다.


인천항은 중국, 태국 수출입 물동량의 지속적인 증가*의 영향으로 전년 동월 대비 11.8% 증가한 26만 천 TEU를 기록하였다.



2017년 7월 컨테이너 물동량은 머스크社(MAERSK)의 랜섬웨어 피해에 따라 물동량이 일부(2만 TEU) 반영되지 않았으며, 미반영 물동량 추가 반영 시 전국 물동량 235만 6천 TEU, 부산항 물동량 177만 2천 TEU로 전년 대비 각각 4.0%, 4.1% 증가한 것으로 추정된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