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2 (수)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주요해사인

강원대 이동석 교수 BRIC 한국을 빛내는 사람들에 선정

강원대학교 동물생명공학과 이동석 교수가 최근 페록시리독신 II(peroxiredoxin II) 유전자의 패혈증 치료 메커니즘을 구명하여 과학기술부 산하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의 ‘한국을 빛내는 사람들’에 선정됐다.

  

이 교수는 2005년 기준 Impact Factor(임팩트 팩터) 가 13.9에 달할 만큼 전 세계적으로 그 권위를 인정받고 있는 의약전문지인 “Journal of Experimental Medicine"에 “Roles of peroxiredoxin II in the regulation of proinflammatory responses to LPS and protection against endotoxin-induced lethal shoc”이란 제목의 논문을 통해 인체 항산화효소인 페록시리독신 II(peroxiredoxin II)의 유전자가 결핍될 경우 그람음성 내독소에 의한 패혈증에 걸릴 위험이 높아지며, 이 유전자를 아데노바이러스를 이용하여 재주입할 경우 패혈증 치료에 효과적이라는 세포 내 감염신호 조절 메커니즘을 밝혀냈다.

  

이 연구는 페록시리독신 II-결핍 쥐를 이용하여 이루어졌으며 그람음성세균이 분비하는 내독소에 의한 염증성 신호전달 체계가 이들 페록시리독신 II-결핍 쥐에서 훨씬 강하게 활성화되어 인체 항산화효소인 페록시리독신 II가 과도한 염증반응을 조절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보고했다.

  

이 연구에 이용된 페록시리독신 II에 의한 감염 및 염증조절 기술은 다른 항산화효소 혹은 물질을 이용한 패혈증 등 세균감염과 염증성 질환치료제 개발 연구 등에도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동석 교수의 주요약력은 다음과 같다.
- 1967년생, 2006년 부임
- 1994, 경북대(농학사-농화학)
- 1974, 일본 동경대(약학석사-분자유전학)
- 2000, 일본 동경대(약학박사-분자유전학)
- 2000~2002, 미국 국립보건원(NIH), Visiting Fello
- 2003~2006,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선임연구원
- 주요연구분야 : 형질전환 모델동물 생산 및 분석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