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2 (수)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건기연 도시의 물순환 해석 기술 개발

수자원의 지속적 확보기술개발사업단(단장, 김 승), 21세기 프론티어 연구개발사업(과기부/건교부(공동지원))과 한국건설기술연구원(원장 정낙형)은 세계 물의 날을 기념하여 지난 16일 한국과학기술회관(지하1층)에서 도시유역의 물순환을 해석하는 기술을 모색하는 공개토론회를 개최했다.

  

빗물이 땅에 침투 되고, 지하수가 하천으로 흘러들거나 혹은 하천과 육지의 물이 증발되어 다시 빗물이 되는 것을 ‘물순환’이라 하는데 이 과정에서 각종 용수와 재생 가능한 에너지원으로 안전하고 쾌적하며 풍요로운 인간생활을 위하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도시로의 급격한 인구와 산업의 집중과 도시지역의 팽창, 산업구조의 변화, 인구의 증가, 고령화, 기상 이변, 무계획적인 개발 등의 이유로 이러한 물의 순환계가 영향을 받고 있다.

  

도시화가 물순환계에 도시지역의 확대에 따른 홍수형태의 변화와 홍수피해의 증가, 평시 하천유량의 감소, 수질오염과 새로운 수질문제의 발생, 생태계의 변화, 도시기후의 변화, 갈수 피해요소의 증가, 방재대책상의 물 부족 등의 영향을 끼친다.

  

이에, 수자원 프론티어 사업단(단장 김승)과 한국건설기술연구원(원장 정낙형)은 도시하천의 복원과 도시유역에서 건전하고 지속가능한 물순환을 복원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도시유역의 물순환 해석 기술을 2003년부터 개발해 왔다.

  

또 이번에 소개되는 지침서에는 도시 유역의 물순환 해석을 위한 일련의 과정, 즉 자료의 조사와 취득에서부터 물 순환 해석 모형을 이용한 정량적 현황 파악, 물순환 해석 기법, 평가를 수행함에 있어 주요 착안점과 실무에서의 기술적 가이드를 제공한다.

  

이번에 개발된 도시 유역 물순환 해석 기술을 가지고 여러 가지 물 순환 개선 정책의 효과를 평가하고 모델링이 가능해 그 결과를 시각적으로 나타낼 수 있어 도시 정책의 입안에 관계하는 사람들의 공통 의사 결정 지원 도구 될 수 있다.

  

이번 개발된 기술이 효과적으로 활용된다면 앞으로 도시의 혈액순환이 살아남으로써 도시하천은 생태계의 파수꾼으로서 가뭄이나 홍수시의 피해로부터 도시 생태계를 훌륭히 지켜줄 것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