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해양 VLCC 3척 수주로 올해 누적 수주액 1조원 돌파 유럽선주로부터 VLCC 3척 수주 대우조선해양(대표이사 정성립)은 유럽선주로부터 초대형원유운반선 (VLCC) 3척을 수주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들 선박은 옥포조선소에서 건조돼 2020년 상반기까지 선주측에 인도될 예정이다. 이번에 수주한 30만톤급 초대형원유운반선은 길이 336미터, 너비 60미터 규모다. 특히 국제해사기구(IMO)의 환경규제 기준에 충족하는 친환경선박으로 고효율 엔진과 최신 연료절감 기술 등 대우조선해양의 최신 기술이 적용된다. 한편 대우조선해양은 올해 LNG운반선 4척, 초대형원유운반선 3척, 특수선 1척 등 총 8척 약 10.2억 달러 (한화 약 1조 1천억원) 상당의 선박을 수주해 올해 누적 수주금액 1조원을 돌파했다.
두산중공업 신서천 화력발전소 탈황설비 수주 금호산업과 컨소시엄으로 1240억 규모 친환경 발전설비 공사 ‘굴뚝 연기를 수증기 수준으로’ 오염물질 제거 두산중공업은 한국중부발전이 발주한 신서천 화력발전소 탈황설비(FGD, Flue Gas Desulfurization) 공사를 약 1,240억 원에 수주했다고 27일 밝혔다. 신서천 화력발전소는 충남 서천군 서면 마량리에 건설 중인 1,000MW급 발전소임. 두산중공업은 지난 2015년 이 발전소와 터빈∙발전기 공급계약을 맺은 데 이어, 이번엔 금호산업과 컨소시엄을 이뤄 탈황설비 공사를 수행하게 됐고, 두산중공업이 맡은 탈황설비 기자재 공급 금액은 700억 원 규모이다. 탈황설비는 화력발전소의 배기가스 내 대기오염 원인 물질인 황산화물(SOx)을 제거함으로써 발전소 굴뚝에서 나오는 연기를 수증기 수준으로 정화시켜주는 친환경 설비이다. 두산중공업 목진원 파워서비스BG장은 “이번에 공급계약을 맺은 탈황설비 기술은 국내에서 가장 엄격한 환경기준과 세계 최고수준의 황산화물 배출저감 설계기준이 적용됐다”면서 “이번 수주를 계기로 탈황∙탈질설비 등 대기오염 물질을 줄이는 친환경 발전설비 시장을 적극 공략해 나갈 것” 이라고
현대重 세계 최초 LNG선 완전재액화 실증설비 구축 LGE社와 공동개발, 혼합냉매 이용해 증발가스 100% 재액화 가능 LNG부분재액화시스템 보다 LNG 자연기화율 세배이상 낮춰 앞선 기술력으로 지난해 전세계 대형 LNG선 수주점유율 40% 넘어 현대중공업이 올해 발주 증가가 예상되는 LNG선 관련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며 수주 경쟁력을 높여 가고 있다. 현대중공업은 최근 LNG선에서 발생하는 증발가스를 100% 재액화하는 ‘혼합냉매 완전재액화(SMR; Single Mixed Refrigerant)’ 실증설비를 울산 본사에 구축해 한국가스안전공사로부터 안전승인을 획득했다고 밝혔다. SMR은 영국의 가스처리엔지니어링 업체인 LGE(Liquid Gas Equipment)社와 공동 개발한 기술로, 세계 최초로 혼합냉매를 이용해 LNG 운반선에서 발생하는 증발가스를 100% 재액화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 시스템은 현대중공업이 지난 2016년 선보인 단일냉매를 이용한 완전재액화시스템에 비해 에너지효율을 최대 40%까지 높였으며, 설비 규모를 줄이고 조작 편의성을 향상시켰다. 특히 운항 중 발생하는 LNG 자연기화율(BOR; Boil Off Rate)을
삼성重 북해 해상플랫폼 성공적 인도 노르웨이 스타토일社로부터 수주한 해상플랫폼 25일 거제에서 출항 안전•품질 우수, 단기간 공정 완료 등 해양공사 수행 능력 입증 북해 지역에서의 수주 경쟁력이 한층 강화될 것으로 기대 삼성중공업이 북해 지역으로 인도할 해상플랫폼의 건조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하고 25일 인도했다고 밝혔다. 삼성중공업이 2015년 6월 노르웨이 스타토일(Statoil)社로부터 1조 1,786억원에 수주한 요한 스베드럽(Johan Sverdrup) 해상플랫폼의 상부구조물 2기 중 1기가 이날 노르웨이로 출항했다. 이는 노르웨이 스타방에르(Stavanger) 지역 서쪽 140km 해상에 위치한 요한 스베드럽 유전에 투입될 해양 설비이다. 이 유전은 추정 매장량이 21억~31억 배럴에 달하는 초대형 광구이다. 삼성중공업이 수주한 플랫폼은 원유 생산과 정제를 담당하는 프로세스(Process) 플랫폼과 채굴한 원유의 운송 및 육상에서 전력을 받아 각 플랫폼에 전기를 공급하는 라이저(Riser) 플랫폼으로 설비 중량은 프로세스 플랫폼이 2만6천톤, 라이저 플랫폼은 2만3천톤이다. 이 중 이번에 출항한 플랫폼은 라이저 플랫폼으로, 6주 후 노르웨이
현대重 5천800만달러 규모 플랜트 설비 수주 나이지리아 당고테社 대형 LPG 저장탱크 15기, 5월부터 제작 2016년 이어 추가 수주로 플랜트 설비분야 경쟁력 입증 현대중공업이 총 5천800만달러(약 630억원) 규모의 플랜트 설비를 수주하는데 성공했다. 현대중공업은 최근 나이지리아 당고테(Dangote Oil Refining Company, DORC)社와 대형 LPG(액화석유가스) 저장탱크(Bullet Tank) 15기에 대한 수주 계약을 체결했다고 22일(목) 밝혔다. 이번에 수주한 설비는 각각 직경 8미터, 길이 95미터의 원통 형태로, 총 7만5천입방미터(m3)의 LPG를 저장할 수 있는 대형 탱크이다. 해당 설비들은 나이지리아 남서부 라고스 인근 정유‧석유화학공장에 설치돼 정제과정에서 생산된 LPG를 저장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현대중공업은 오는 5월 제작에 들어가 2019년 4월부터 순차적으로 설비를 납품할 계획이다. 이번에 수주한 대형 LPG 저장탱크는 지난 2016년 현대중공업이 당고테社로부터 수주한 중질유분해설비(RFCC, Residue Fluid Catalytic Cracking Unit)의 후속 공사로, 이번 추가 수주를 통해 발주처로
현대일렉트릭, 헝가리 통합 R&D센터 구축 총 5층, 760평 규모…신재생 필수기술인 ‘전력변환’ 원천기술 개발 최신 연구시설, 회전기•고압차단기•변압기•전력제어 연구팀…‘기술개발 시너지 기대’ 20주년 맞은 기술센터, “미래 성장 동력이 될 R&D 개발의 중심으로 만들 것” 현대일렉트릭이 전기전자기술 강국인 헝가리에 기술센터를 구축, 신재생에너지 관련 원천기술 확보에 본격 나선다. 현대일렉트릭은 최근 헝가리 수도 부다페스트에서 주영걸 현대일렉트릭 사장, 정기선 현대로보틱스 경영지원실장, 최규식 주 헝가리 대사, 마칭코 졸탄(Maszingko Zoltan) 헝가리 경제부 차관 등 120여명의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신축 헝가리기술센터(H-TEC) 개소식을 가졌다고 19일(월) 밝혔다. 총 760평(2,509㎡) 부지에 건립된 이 센터는 총 5층(지하 1층, 지상 4층) 규모로, 지상 1층에는 전력제어 시험설비, 시제품 제작실 등 최신 연구시설이 위치해 있고, 2층~4층에는 회전기, 고압차단기, 변압기, 전력제어 등 4개 연구팀이 자리를 잡는다. 지하 1층에는 자재창고와 주차장 등을 갖추고 있다. 특히, 이 센터는 기존 부다페스트 지역의 2개
현대重 2년 연속 영업흑자 달성 2017년 매출 15조4688억원 영업이익 146억원 기록 선박 수주는 148척, 99억불로 전년대비 66.6% 상승 부채비율 89.9%, 순차입금 비율 18.5%로 재무구조 크게 개선 현대중공업이 지난해 사업분할 등 사업구조 재편과 환율하락, 강재값 인상 등 급변하는 경영환경 속에서도 2년 연속 영업 흑자를 달성했다. 현대중공업은 9일(금) 공시를 통해 지난 2017년 연결기준 매출 15조4,688억원, 영업이익 146억원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이로써 2016년에 이어 흑자 기조를 유지했다. 특히, 계약변경(C/O) 체결 및 원가 절감을 통해 4분기 연속 영업이익이 증가한 해양사업부문과 선박 발주 증가에 따라 중/대형엔진 판매 호조세를 보인 엔진기계사업부문이 양호한 실적을 이끌었다. 단기적으로는 환율 하락 및 강재가격 인상에 따른 일회성 비용이 반영되면서 4분기 영업이익이 적자 전환했다. 매출은 해양사업부문 계약변경 및 공정 가속화 영향으로 전분기 대비 1.9% 상승했다. 한편, 그룹 조선 3사 상선부문 수주 실적에서는 전년 대비 66.6% 상승한 148척, 99억불을 기록하면서 연간 수주 목표(100척, 75억불
삼성重 올해 들어 1兆원 수주 8日 아시아 지역 선주로부터 컨테이너선 8척 8,200억원에 수주 아시아-북미 항로에 투입될 '네오 파나막스' 건조 계약 체결 물동량 증가, 친환경 규제 등에 따른 추가 수주 기대 삼성중공업이 단숨에 1兆원 규모의 선박을 수주하면서 올해 수주 목표 82억 달러 달성에 청신호가 켜졌다. 삼성중공업은 아시아 지역 선주로부터 12,000TEU급 컨테이너선 8척을 약 8,200억원에 수주했다고 8일 밝혔다. 이번에 수주한 선박은 길이 334m, 폭 48.4m 규모의 '네오 파나막스' 선박이며 납기는 2021년 5월까지이다. '네오 파나막스(Neo Panamax)'란 '16년 6월 폭 49m로 확장 개통된 파나마 운하를 통과할 수 있는 크기의 선박을 뜻함. 확장 개통 이전의 파나막스는 폭 32m 이내의 선박(컨테이너선 5,000TEU급)을 칭한다. 아시아-북미 항로의 핵심 관문인 파나마 운하가 확장 개통되면서 해운 선사들은 이 항로에 투입하는 선박을 최대 14,000TEU급까지 최적화하기 시작했다. 미국의 국제 무역 통계 서비스인 피어스(Piers)에 따르면 미국 경제 호조 등에 힘입어 북미 항로의 물동량은 2017년 연간 1,
대우조선해양 소속 임원 2명, 세계인명사전 동시 등재 선박기본설계담당 권오익 상무, 해양사업개발 서재관 상무 세계 최고 인명사전 중 하나인 마르퀴즈 후즈후 2018년 판에 등재 대우조선해양 임원 2명이 같은 해에 세계인명사전에 등재되는 경사를 맞았다. 대우조선해양(대표이사 정성립)은 선박기본설계담당 권오익 상무, 해양사업개발 서재관 상무가 ‘마르퀴즈 후즈후 인 더 월드’ (Marquis Who's Who in the World, 이하 마르퀴즈 후즈후) 2018년 판에 등재됐다고 8일 밝혔다. 서울대학교 조선해양공학과를 졸업한 권상무는 대우조선해양 선박기본설계를 총괄하고 있으며, LNG운반선, LNG-FSRU 등 가스선 분야에서 최고의 전문성을 보유하고 있다. 특히 세계 최초 쇄빙LNG운반선을 개발해 지난해 성공적으로 인도한 공로를 인정받아 선정이 결정됐다. 또 연세대학교 금속공학과를 졸업한 서상무는 해양사업개발 업무를 담당하고 있으며, 6세대 심해시추용 드릴십 대우조선해양 자체 디자인 개발, 해양산업 최초 오일메이저와 해양플랜트 관련 기본합의서 체결, 그리고 30년간 해양영업에 종사하면서 총 500억 달러 수주에 직간접적으로 기여한 것에 대한 공로를 인정받았
현대重 노사 2016 2017년 임단협 잠정 합의 일감 부족 심화로 위기 가중, 설 전 마무리 공감대 우리사주 대출금에 대한 이자 비용 지원•생활안정지원금 추가 9일(금) 조합원 찬반 투표…통과 시 위기극복 전념 ‘새 출발’ 현대중공업 노사가 7일(수) 2016년과 2017년 임금 및 단체협약의 새로운 잠정합의안을 마련했다. 주요 내용은 △기본급 동결 △자기계발비 월 20시간 지급 △타결 격려금 연 100%+150만원 △사업분할 조기 정착 격려금 150만원 등이다. 또 성과금은 산출 기준대로 지급하고, 상여금 지급 기준 일부 변경과 신규 채용 시 종업원 자녀 우대 등 실효성 없는 일부 단체협약 조항 삭제 등도 기존 잠정합의안과 동일하다. 이번에 추가된 내용은 △유상증자에 따른 우리사주 청약 대출금에 대한 1년 치 이자 비용 지원과 △직원 생활안정지원금 20만원 지급 등이다. 현대중공업 노사는 2016년 5월, 2016년 임금 및 단체협약 교섭을 시작했으나 그해 마무리 짓지 못하고 2017년 6월부터 2016년 임단협과 2017년 임금 협상을 묶어 2년 치 교섭을 진행해 왔다. 이번 잠정 합의는 지난해 12월 말 마련한 첫 번째 잠정합의안이 1월 9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