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重 LPG 이중연료엔진 사업 진출 만 디젤&터보와 ‘LPG 이중연료엔진 사업 MOU’ 맺어 유해물질 적고 연료공급도 수월해 높은 시장경쟁력 갖춰 LNG 이중연료엔진에 이어 친환경 엔진 라인업 구축 현대중공업이 LNG(액화천연가스)에 이어, LPG(액화석유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차세대 이중연료엔진 사업에 나선다. 현대중공업은 최근 울산 본사에서 덴마크 만 디젤&터보(MAN Diesel&Turbo, 이하 ‘만사’)社와 ‘선박 추진용 이중연료엔진 사업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6일(화) 밝혔다. 현대중공업은 만사가 LPG와 디젤 두 가지 연료를 모두 사용할 수 있는 6천마력급 이상 대형선박 추진용 ‘LPG 이중연료엔진’(ME-LGIP)을 개발하는데 협력하고, 상용화에 앞장서기로 했다. 우선 현대중공업은 만사가 보유한 LPG추진 기술을 기반으로 이중연료엔진의 상세 설계와 안전성 시뮬레이션을 진행해 기술 완성 수준을 끌어올리고, 주요 선주사를 대상으로 신제품에 대한 수요조사를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LPG를 사용한 이중연료엔진은 디젤을 연료로 사용할 때보다 질소산화물(NOx) 20~30%, 황산화물(SOx) 90~95%까지 적
대우조선해양 도면 없는 조선 맞춤형 스마트 공장 구축 화인중공업과 함께 도면 없이 각종 의장품 생산이 가능한 시스템 만들어 기술이전 희망 업체에 기술력 공급 … 대ㆍ중소기업 동반성장 실현 대우조선해양(대표이사 정성립)이 사물인터넷(IoT•Internet of Things) 기술을 적용, 도면 없이 선박 의장품 자동화 생산이 가능한 스마트 공장을 구축했다. 대우조선해양은 1일 오전 협력업체인 화인중공업(경남 함안 소재)과 선박에 설치되는 배관 파이프 및 철 구조물 등의 의장품을 도면 없이 제작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고 첫 시연회를 성공적으로 마쳤다. 화인중공업의 경우 선박에 설치되는 다양한 형태의 철의장품과 구조물을 생산하는 곳으로 효율적인 생산관리가 필요해 대우조선해양과 함께 자동화 시스템 도입을 위한 연구개발을 꾸준히 진행해 왔다. 이번 스마트 공장 구축 성공으로 대우조선해양과 화인중공업은 설계 도면과 생산정보의 실시간 공유가 가능해져 재작업 및 수정작업을 대폭 줄일 수 있게 됐다. 또한 도면 해석부터 제작 단계까지 약 3주가 소요되던 기간을 절반 이상 단축시켜 원가 절감은 물론 품질 향상에도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기존에는 생산 도면을 작업자들이 직접
현대重, 24년째 사랑의 쌀 배달 지역 경로당과 무료급식소 등 75개소 매달 전달 올해 1억 3천만원 마련, 소외이웃에 6만kg 지원 1994년부터 한해도 거르지 않고, 이웃사랑 실천 현대중공업은 24년째 ‘사랑의 쌀’을 기부하며, 지역 사회를 향한 온정을 이어가고 있어 훈훈함을 주고 있다. 현대중공업은 현대일렉트릭, 현대건설기계와 함께 한 해 동안 1억 3천만원의 기금을 마련하여 매월 한 차례씩 총 6만kg(3천포)의 쌀을 지역 소외계층에게 지원하기로 했다. 새해 첫 지원행사로 지난 30일(화) 울산 지역 경로당 45개소를 비롯해 무료급식소, 장애인복지시설 등 사회복지시설 75개소에 5천kg(250포)의 백미(白米)를 전달했다. 이 백미는 이들 회사가 1천여만원을 모아 마련했으며, 사내 봉사단체 회원 10여명이 직접 쌀을 전달하고 경로당 등의 낡은 시설물을 보수하기도 했다. 현대중공업은 지난 1994년 사회복지관인 ‘화정종합사회복지관’을 시작으로 경로당, 무료급식소로 점차 수혜 대상자를 넓혀오며 24년간 한해도 거르지 않고 쌀 기부를 이어오고 있다. 현대중공업 문환근 기장(48세)은 “따뜻한 밥 한 끼를 대접하는 기분이 들어 추운 줄도 모르고 쌀
삼성重 未인도 시추설비 5억弗에 매각 성공 스테나社에서 수주한 설비 유럽 선사와 27日 계약, 잔금 모두 확보 글로벌 시황회복•유가상승으로 시추선 시장 회복 및 인도 지연 프로젝트의 불확실성 해소, 청신호 삼성중공업은 유럽의 한 선사에 반잠수식 시추설비(Semi-submersible Drilling Rig) 1척을 약 5억 달러에 매각하고 올해 말까지 인도할 예정이라고 29일 공시했다. 이 시추설비는 2013년 6월, 스웨덴 스테나(Stena)社로부터 7억2000만 달러에 수주하여 선수금 30%(2억1500만 달러)를 받고 건조에 착수했으나, 선사의 잦은 설계 변경과 과도한 요구로 일정이 지연됐다. 이에 2017년 6월 삼성중공업은 스테나에 공정 지연에 따른 공기 연장 요구 및 관련 비용을 청구 했으며, 스테나는 납기 불이행을 이유로 일방적인 계약해지를 통보해오면서 선수금(30%)에 대한 중재 절차가 진행되고 있던 상황이다. 2016년 2분기 실적에 예상 손실 1954억원을 회계 처리했다. 삼성중공업은 상기 중재 절차와는 별개로 이 시추설비를 시장에 매각하여 잔금 70%(5억 달러)를 회수하고자 노력해왔음. 이번 매각 성공으로 건조대금 전액을 회수하는
현대重 5억불 규모 해양플랜트 기본설계 맡아 캐나다 '스틸헤드LNG'社로부터 세계 첫 ASLNG 선체 2기 계약자 선정 길이 340미터, 폭 60미터, 연 6백만톤 LNG 생산 국제유가 3년 내 최고수준, 해양플랜트 시황 회복 기대 현대중공업이 세계 최초로 바다 위 LNG 수출 기지인 ASLNG (At-Shore LNG) 계약자로 선정되며 해양플랜트 수주에 청신호가 켜졌다. 현대중공업은 최근 캐나다 스틸헤드LNG(Steelhead LNG)社로부터 ASLNG (At-Shore LNG, 연안형 LNG생산설비) 2기의 선체부분(Hull)에 대한 기본설계(FEED) 및 건조(EPC) 계약자로 선정됐다고 지난 28일(일) 밝혔다. ASLNG(At-Shore LNG)는 연근해상에 정박해 육상 파이프라인을 통해 들어온 가스를 액화해 LNG를 생산, 수출할 수 있는 LNG설비다. 길이 340미터, 폭 60미터, 자체중량 7만 4천톤에 이르는 이 설비는 선체부분에 최대 28만 입방미터(㎥)의 액화천연가스를 저장할 수 있으며, 2024년부터 캐나다 밴쿠버 아일랜드(Vancouver Island) 서부 연안 키스파(Kwispaa) 프로젝트에 투입돼 연간 6백만 톤의 액화천연가
두산중공업 북미 최대 ESS 전시회 디스트리뷰테크 2018 참가 미국 자회사 두산그리드텍의 최신 ESS 소프트웨어 및 플랫폼 선보여 두산중공업과 두산중공업의 미국 자회사인 두산그리드텍이 미국 텍사스주 샌안토니오에서 열리는 '디스트리뷰테크 2018 (DistribuTECH)'에 참가했다고 28일 밝혔다. 디스트리뷰테크는 전기 송배전 (Transmission & Distribution) 및 에너지저장장치 (EnergyStorage System 이하 ESS) 분야의 북미 최대 전시회로, 이번 박람회에는 540여 개의 기업이 참가했다.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참가한 두산중공업과 두산그리드텍은 독립 전시관을 설치하고 북미 발전사들을 대상으로 두산그리드텍이 보유한 ESS 소프트웨어 및 플랫폼 등을 선보였다. 최대진 두산그리드텍 대표는 “전 세계에서 만 오천 명 이상의 바이어와 잠재 고객이 참관하는 이번 전시회에서 두산의 ESS 관련 기술과 사업 수행 역량을 적극적으로 알려 향후 수주 활동에 도움이 되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두산중공업은 지난 2016년 미국의 ESS 소프트웨어 원천기술 보유업체인 원에너지시스템즈를 인수해 두산그리드텍을 설립했으며, 지난해 9
삼성중공업 1조 5천억원 규모 유상증자 결의 삼성중공업은 26일(金) 이사회를 열고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 1조 5,624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실시하기로 결의했다. 삼성중공업은 이에 앞서 이날 오전 9시 임시 주주총회를 개최해 발행 가능한 주식 총수를 5억주에서 8억주로 늘리는 정관변경 안건을 의결했다. 유상증자 방식은 주주배정 후 실권주 일반공모이며, 신규 발행 주식수는 2억 4천만주이다. 이 날 공시한 예정 발행가는 할인율 20%를 적용해 6,510원으로 정했으며, 확정 발행가액은 1∙2차 발행가액 산정 등의 절차를 거쳐 4월 9일 최종 결정될 예정이다. 신규 발행 주식의 20%에 해당하는 4,800만주는 우리사주조합에 우선 배정하며, 우리사주조합 청약일은 4월 12일이다. 신주 배정기준일(2018년 3월 08일) 18시 현재 주주명부에 등재된 구주주에게는 보유 주식 1주당 0.52725주의 신주를 배정하며, 20% 범위 내에서 초과 청약도 가능함. 구주주 청약은 4월 12일과 13일 2일간 진행될 예정이다. 실권주 발생시 진행할 일반공모 청약은 4월 17일~18일에 걸쳐 이뤄질 예정으로 신주 상장 예정일은 5월 4일이다. 한편, 삼성중공업
현대重 쿠웨이트서 가스선 3척 2.2억불 수주 올 들어 현재까지 총 14척, 8억불, 지난해 대비 4배 증가 지난달 21척, 19억불 수주 이후 수주흐름 상승세 이어가 가스선, 유조선 등 발주문의 증가로 추가 수주 기대 조선 업황이 회복되고 있는 가운데 현대중공업그룹이 연초부터 잇따라 수주에 성공하며 수주흐름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현대중공업은 지난 24일(수) 쿠웨이트 국영 선사인 KOTC(Kuwait Oil Tanker Company)사와 8만 4천 입방미터(㎥) 급 초대형 LPG운반선(VLGC: Very Large Gas Carrier) 3척, 2.2억불 규모의 선박 건조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쿠웨이트 KOTC 본사에서 진행된 이번 계약식에는 현대중공업 그룹선박해양영업 대표 가삼현 사장, KOTC 셰이크 탈랄 칼레드 알-아마드 알-사바(Sheik Talal Khaled Al-Ahmad Al-Sabah) CEO, 유연철 주쿠웨이트 대사 등이 참석했다. 이번에 수주한 선박은 길이 228m, 폭 37m로, 울산 현대중공업에서 건조돼 2019년부터 순차적으로 인도될 계획이다. 현대중공업그룹은 시황이 어려웠던 2016년과 2017년에도 국내 조선사로는 유
삼성重 에지나 FPSO 나이지리아 도착 세계 최대 FPSO, 마무리 공정 위해 24日 나이지리아 생산거점 입항 모듈 제작∙탑재 등 로컬 콘텐츠 공정 순항, 하반기 최종 인도 철저한 사전 준비로 현지 공정∙원가관리 모두 계획대로 진행中 삼성중공업이 건조하는 세계 최대 규모 FPSO(부유식 원유생산 저장 및 하역설비, 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인 '에지나 (Egina) FPSO'가 지난 해 10월 31일 거제조선소를 출항한 지 84일 만인 24日 밤 9시(한국시간) 나이지리아 라고스(Lagos) 소재 생산 거점에 도착했다. 삼성중공업은 나이지리아 로컬 콘텐츠(Local Contents, 현지 생산 규정)에 따라 이 곳에서 생산한 FPSO 상부플랜트 모듈 및 선체 구성품 일부 탑재와 시운전 등을 마친 후 2018년 하반기 발주처에 인도할 예정이다. 에지나 FPSO는 삼성중공업이 2013년에 나이지리아에서 수주한 해양프로젝트이다. 나이지리아 연안에서 200km 떨어진 에지나 해상유전에 투입되는 이 FPSO는 길이 330m, 폭 61m, 높이 34m 크기로 저장용량 230만 배럴에 상부플랜트(Topside) 중량
현대重 인도네시아서 500억원 규모 발전설비 수주 인도네시아 발전시장 첫 진출…총 86MW급 이중연료 힘센엔진 21대 공급 디젤연료와 천연가스 중 선택적 사용 가능한 친환경 엔진 현대중공업이 인도네시아에서 처음으로 500억원(4천 8백만달러) 규모의 이중연료 발전설비를 수주했다. 현대중공업은 최근 인도네시아 트루바 자야 엔지니어링(PT. Truba Jaya Engineering)사와 공동으로 인도네시아 전력공사(PT. PLN)가 발주한 총 86MW급 육상 엔진발전소 공사를 수주했다고 밝혔다. 현대중공업은 이 발전소에 4.1MW급 이중연료 힘센엔진 21대와 관련 기자재 등을 공급하고, 설치 및 시공은 현지 EPC(Engineering•Procurement•Construction)사인 트루바 자야 엔지니어링사가 맡게 된다. 힘센엔진은 현대중공업이 독자 기술로 개발한 중형엔진으로, 주로 선박의 추진이나 발전(發電)용으로 사용된다. 이번에 현대중공업이 수주한 이중연료 힘센엔진은 디젤연료와 천연가스를 상황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일반 엔진보다 유해가스 배출을 크게 줄일 수 있는 친환경 엔진으로, 최근 가스 인프라 구축에 나서고 있는 인도네시아 발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