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해양, 美 셰브론社와 해양플랜트관련 포괄 계약 합의 대우조선해양에 대한 고객의 신뢰 재확인, 해양플랜트에 대한 다양한 기회 확보 대우조선해양이 향후 미국 셰브론社가 발주하는 각종 해양플랜트 프로젝트를 수주할 수 있는 우선적 기회를 갖게 됐다. 대우조선해양(대표이사 정성립)이 미국의 대형 에너지 회사인 셰브론社(Chevron)와 해양플랜트 발주에 대한 기본합의서(Frame Agreement)를 체결했다고 12월20일 밝혔다. 이 합의서에 따르면 대우조선해양은 향후 셰브론이 추진하는 해양플랜트 공사의 초기 및 기본설계(pre-FEED, FEED) 단계에도 참여할 수 있게 되었으며, 대우조선해양은 셰브론과 긴밀한 협력관계를 지속적으로 이어갈 수 있게 됐다. 이번 합의에 따라 대우조선해양에게는 국내업체들이 가장 취약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는 해양플랜트 설계능력 확보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실제 건조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선제적으로 초기단계에 반영함으로써 리스크도 현저하게 줄일 수 있게 됐다. 셰브론도 프로젝트 초기 설계 단계에서부터 대우조선해양이 축적한 경험과 생산기술을 설계에 반영함으로써 설계의 완성도를 높이고 프로젝트 전체의 기술적
해운⋅조선⋅금융⋅화주 상생협력 업무협약 체결 해상운송 효율화 및 신조발주 활성화 도모 해운⋅조선⋅금융⋅화주를 대표하는 국내 10개 단체는 12월 15일 여의도 해운빌딩에서 연관산업의 동반발전을 위한 상생협력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 날 체결된 해운-조선-금융-화주 상생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은 한국선주협회, 한국조선해양플랜트협회, 한국조선공업협동조합, 해양금융종합센터, 한국해양보증, 화주 상호 업무협력 체계를 구축하여 효율적인 해상운송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화주와 소비자의 후생 증대에 기여하기 위한 것으로 지난 10월 31일 정부에서 발표한 「해운산업 경쟁력 강화방안」과 「조선산업 경쟁력 강화방안」의 후속조치로 이루어졌다. 업무협약식에는 한국선주협회(회장 이윤재)를 비롯하여 한국조선해양플랜트협회(회장 박대영), 한국조선공업협동조합(이사장 이상일), 해양금융종합센터(센터장 이동해), 한국해양보증보험(사장 최재홍), 한국서부발전(사장 정하황), 한국가스공사(사장 이승훈), 대한석유협회(회장 강봉균), 한국철강협회(회장 권오준) 및 한국LNG벙커링산업협회(회장 박인환) 등 10개 단체가 참여했다. 동 협
현대重 기술 중심 경영혁신 선언 ‘기술’을 경영의 최우선 핵심가치로 추진 기술/ICT기획팀 신설, 판교에 통합R&D센터 설립 제품별 ICT 구축을 통해 제조 중심에서 기술 중심으로 사업운영 방식 혁신 현대중공업이 기술을 최우선 핵심가치로 하는 ‘경영혁신’을 선언했다. 현대중공업은 12월 15일 목 기술/ICT기획팀 신설, 그룹 통합R&D센터 설립 등 미래 경쟁력 확보를 위한 기술 중심의 경영혁신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번 혁신안은 지난 11월 이사회에서 결의한 ‘사업분할을 통한 독립경영 체제’를 뒷받침하는 것으로, 미래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기술 혁신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이를 위해 현대중공업은 기획실 내에 그룹의 기술경영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게 될 기술/ICT기획팀을 신설했다. 기술/ICT기획팀은 제조업 혁신의 핵심키워드로 부상한 ICT(정보통신기술)를 활용한 제품 및 서비스 부문의 스마트화를 추진함으로써, 제조중심에서 ICT중심으로 사업운영 방식을 혁신시켜 나갈 계획이다. 현대중공업은 또한 경기도 성남시 백현지구 일대에 ‘현대중공업그룹 통합R&D센터’(가칭) 설립을 추진하기로 했다. 통합R&D센터는
대우조선해양 건조 세계 최초 FLNG, 해상 LNG 첫 생산 성공 첫 LNG 생산성공으로 LNG 분야 세계 최고의 경쟁력과 기술력 재입증 LNG 관련 선박 및 해양설비 풀라인업 구축으로 가스선 시장 주도 대우조선해양(대표이사 정성립)이 건조한 세계 최초 FLNG가 첫 LNG(액화천연가스)생산에 성공하며 LNG 분야 세계 최고 강자임을 재차 입증했다. 지난 5월 대우조선해양 옥포항을 출항한 FLNG(Floating LNG : 액화천연가스 부유식 생산•저장•하역 설비)는 말레이시아 사라와크주에서 180Km 떨어진 카노윗 해상 가스전에 도착해 6개월 만에 현지 설치 및 시운전 과정을 완벽하게 수행하며 첫 LNG 생산에 성공했다. 이 설비는 내년 1월 최종 하역 테스트 후 실제 생산에 들어갈 예정이다. 지난 2012년 말레이시아 국영석유회사인 페트로나스 (Petronas)社로부터 수주한 이 해양설비는 육상의 천연가스 처리시설을 그대로 선박위에 옮겨 놓은‘바다위 LNG생산기지’로 불린다. 대우조선해양은 프로젝트의 성공을 위해 설계, 생산, 연구소 등 주요업무의 협업으로 그 동안 쌓은 노하우와 세계 최고의 LNG 관련 기술력을 총동원했다. 이번 첫
두산중공업 이집트에서 6년만에 발전설비 수주 이집트 국영발전사에 1600억원 규모 터빈, 발전기 공급 GE, 지멘스 등 글로벌 경쟁사 제쳐 두산중공업은 이집트 국영발전사인 UEEPC(Upper Egypt Electricity Production Company)와 CEPC(Cairo Electricity Production Company)로부터 1600억원 규모의 터빈과 발전기 공급에 대한 수주통보서(NOA, Notice of Award)를 접수했다고 12일 밝혔다. 두산중공업은 UEEPC가 건설하는 아시우트(Assiut) 화력발전소와 CEPC가 건설하는 카이로 웨스트(Cairo West) 화력발전소에 2020년 4월까지 650MW급 터빈 및 발전기를 각각 1기씩 공급하고 설치, 시운전까지 수행하게 됐다. 박흥권 두산중공업 터빈/발전기 BG장은 “국제 경쟁 입찰에서 GE, 지멘스, MHPS 등 글로벌 경쟁사를 제치고 수주해 의미가 크다”면서 “이번 수주로 기술력이 입증된 만큼, 향후 아시아, 북아프리카 해외 시장에서 발전 기자재 수주를 가속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두산중공업은 이집트 발전시장에는 지난 2010년 약 4000억원 규모의 아인 소크나(Ain Sok
대우조선해양 사외이사, 보수 30% 반납하며 자구노력 동참 경영정상화를 위한 고통분담 차원, 정상화 통해 국민 기대에 부응하겠다 대우조선해양의 경영정상화를 위한 자구노력에 사외이사들도 나섰다. 대우조선해양(대표이사 정성립)은 김유식 이사 등 4명의 사외이사가 보수 30%를 반납하며 자구노력에 동참하기로 했다고 6일 밝혔다. 이에 따라 12월에 지급되는 사외이사들의 11월 보수는 기존 400만원에서 30% 축소된 280만원이 지급된다. 이는 현재 CEO가 반납하고 있는 30%와 같은 수준이다. 대우조선해양 임원들은 지난해 9월부터 20~30%의 급여를 반납해 오고 있으며, 직원들도 올해 7월부터 10~15%의 급여를 반납해 오고 있다. 이에 대해 김유식 사외이사 겸 감사위원장은 “회사의 경영정상화를 위한 고통분담 차원에서 비록 큰 금액은 아니지만 동참하게 되었다.”며 “전 임직원의 이러한 희생과 노력들이 모아져 회사를 빠른 시일안에 정상화시키고 국민의 기대에 부응하겠다.”고 밝혔다. 대우조선해양은 경영정상화를 위한 자구노력으로 지난해와 올해 생산직을 포함하여 약 1,500명의 인력을 희망퇴직으로 구조조정했고, 연월차 소진과 연장근무 축소 등을 통해 인건비 절감
현대중-아람코 프로젝트 사우디 국가적 사업 됐다 29일(화) 살만 사우디 국왕, 합작조선소 부지 둘러보며 관계자 격려 ‘King Salman 조선산업단지’로 명명, 국왕 이름 딴 첫 사업으로 국민적 관심 고조 현대중공업이 사우디 국영 석유회사인 아람코 등과 추진 중인 합작조선소 프로젝트가 사우디 국가 사업화됨에 따라 가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현대중공업은 살만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Salman bin Abdulaziz Al saud) 사우디아라비아 국왕이 지난 29일(한국시간) 합작조선소 예정부지인 라스 알 헤어(Ras Al -Khair)지역을 방문, 왕족 및 사우디 정부 주요 인사와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관계사 경영진 등 6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King Salman 조선산업단지 선포 행사’(Royal lnauguration Ceremony of King Salman Global Maritime Industries Complex)를 가졌다고 밝혔다. 사우디 합작조선소 건립은 살만 국왕이 최우선 순위로 두고 있는 사우디 산업발전 계획인 ‘비전 2030’의 일환으로 추진되고 있으며, 이번 행사를 통해 살만 국왕의 이름을 딴 첫 국가적 사업으로 확정됐다는 점
현대重 해군 첫 차기 군수지원함 진수 29일 2만3천톤급 소양함 진수식 엄현성 해군참모총장 참석 배수량•적재능력 등 기존 군수함보다 작전능력 2배 이상 향상 하이브리드 추진체계로 1만㎞ 운항, 재난구조•국제활동 등 다목적 현대중공업이 우리나라 첫 차기 군수지원함(AOE-Ⅱ)을 성공적으로 건조했다. 현대중공업은 지난 29일(화) 울산 본사에서 강환구 사장을 비롯해 엄현성 해군참모총장과 부인 김영옥 여사 등 해군과 방위사업청 관계자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차기 군수지원함의 진수식을 가졌다. 이 함정은 국내 최대 인공호수인 소양호에서 이름을 따, ‘소양함’으로 명명됐다. 길이 190미터, 폭 25미터 크기의 ‘소양함’은 현재 해군에서 운용하고 있는 군수지원함인 천지함급보다 배수량이 2.5배 늘어난 2만3천톤급으로, 함정이나 도서 지역으로 장비나 군수물자 등을 수송하는 임무를 수행한다. 특히 소양함은 1만톤 이상의 유류와 1천톤 이상의 식량•탄약 등 천지함급보다 2.3배 많은 화물을 운반할 수 있으며, 의무지원 시설과 헬기 운용설비도 갖춰 재난구조 및 국제 협력활동에도 두루 활용할 수 있는 최첨단 다목적 군수지원함이다. 아울러
대우조선해양 장보고-I 통합전투체계 성능입증시험 성공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개발된 잠수함의 핵심 무기체계로 대우의 기술력 입증 대우조선해양(대표이사 정성립)은 장보고-Ⅰ급 잠수함의 성능개량을 위해 연구개발 중인 통합전투체계에 대한 성능입증시험을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21일 밝혔다. 대우조선해양은 지난 2014년 장보고-I급 잠수함 3척의 성능개량사업을 약 1,800억원에 수주했다. 이중 통합전투체계 구축은 성능개량사업의 핵심으로 지난 2015년 6월까지 설계가 진행되었고, 그동안 시제품 제작과 함정에 탑재하기 전 시험할 수 있도록 육상시험체계를 구축했으며, 지난 18일 마침내 성능입증시험에 성공한 것이다. 국내에서 잠수함 전투체계가 개발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장보고-Ⅰ급 잠수함은 90년대 건조되어 운용중인 우리나라 최초의 잠수함으로 성능개량사업은 탑재된 낡은 장비와 시스템을 단순히 교체하는 차원을 넘어 최신 사양으로 업그레이드 하는 작업이다. 그런만큼 잠수함을 새롭게 건조하는 것보다 더 까다롭고 높은 기술력이 요구된다. 통합전투체계는 잠수함에 탑재된 소나를 이용하여 표적을 탐지, 추적 및 식별하고, 전술상황에 대해 정확히 평가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표적에
대우조선해양 노사, 경영정상화를 위한 노사확인서 제출 자구계획 충실히 이행, 노조도 적극 협조 지난해 제출한 노사확약서 재확인 대우조선해양 노사는‘경영정상화를 위한 추가 노사확인서’를 채권은행인 산업은행에 17일 제출했다. 대우조선해양 노사는 이날 제출한 확인서를 통해 지난해 제출했던‘기본 확약서’와 ‘경영정상화계획 이행을 위한 약정서’ 사항을 준수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회사는 모든 자구계획을 충실히 이행하고, 노조도 적극 협조하며 경영정상화에 저해하는 행위를 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노사확인서가 제출됨에 따라 대우조선해양의 자본확충계획도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오는 25일 대우조선해양 임시주주총회에서 정관 일부 변경 및 자본금 감소 승인 건이 통과되면 연내 자본확충이 이뤄지고, 이를 통해 완전자본잠식에서 벗어나면 회사는 정상적인 수주활동에 나설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대우조선노동조합 홍성태 위원장은“회사가 법정관리로 가는 것만은 막고, 구성원들의 생존권과 일터를 지켜야 한다는 생각으로 결단을 내렸다.”고 말했다. 이에 대우조선해양 정성립 사장은 “대승적 차원에서 결단을 내려준 노동조합 홍성태 위원장과 모든 조합원들에게 감사하다.”며 “노사가 협력해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