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중공업 영동화력발전소 연료전환 사업 수주 국내 처음으로 석탄 화력을 전환, 바이오매스 발전소 재탄생 남동발전, 연간 이산화탄소 86만톤 감축, 127만 신재생에너지공급인증서 확보 가능 두산중공업(대표이사 부회장 박지원)은 한국남동발전이 발주한 영동화력발전 1호기 연료전환 사업을 약 570억원에 수주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지난 1973년 준공된 125MW급 영동화력 1호기를, 기존 석탄을 연료로 사용하는 석탄화력 발전소에서 바이오매스 발전소로 전환하는 프로젝트다. 그 동안 국내에서 기존 석탄화력 발전소를 석탄과 바이오매스를 함께 연료로 사용하도록 변경하는 사례는 있었지만 바이오매스만 연료로 사용하는 발전소로 전환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두산중공업은 보일러 등 기존 설비를 교체하여 2017년 3월말까지 준공할 예정이며, 영동화력이 바이오매스 발전소로 거듭나면 남동발전은 연간 이산화탄소 86만톤을 감축하고, 127만 REC(신재생에너지공급인증서, Renewable Energy Cirtificate)를 확보할 수 있음. 또한 2018년 평창올림픽 개최 시 친환경 신재생에너지를 공급하는 중추 발전 설비로 자리매김 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연료전
대우조선해양 초대형 원유운반선 2척 수주 경영정상화 박차 그리스 마란 탱커스 社로부터 VLCC 2척 수주 회사에 대한 고객사의 굳건한 신뢰 확인 수주 재개 현장 생산 활발 노사 합심해 미래방향 모색하는 등 조기 경영정상화 추진경영정상화를 추진 중인 대우조선해양(www.dsme.co.kr 대표이사 정성립)에 대한 선주사의 굳건한 신뢰가 이어지고 있다. 대우조선해양은 그리스 안젤리쿠시스 그룹 산하 마란 탱커스(Maran Tankers Management) 社로부터 2척의 초대형 원유운반선(VLCC, Very Large Crude oil Carrier)을 수주했다고 18일 밝혔다. 319,000톤급 초대형 원유운반선 2척은 길이 336m, 너비 60m 규모로, 고효율 엔진과 최신 연료절감 기술이 적용된 대우조선해양의 차세대 친환경 선박이다. 2척의 선박은 대우조선해양 거제 옥포조선소에서 건조되어 2017년 내 순차적으로 인도될 예정이다. (사진:최근 유럽현지에서 대우조선해양 정성립 사장(오른쪽), 안젤리쿠시스 그룹 존 안젤리쿠시스 회장(왼쪽) 그리고 사주 딸인 마리아 안젤리쿠시스(가운데)가 초대형 원유운반선 건조 계약서에 서명 한 뒤 기념촬영 하고 있다.) 안젤리
두산중공업, 에너지저장장치(ESS) 주기기 공급 계약 체결…시장 공략 가속 전력거래소 사옥 용 2.4MWh급 ESS 주기기 공급 계약… 단일 건물로는 국내 최대용량 두산중공업(대표이사 부회장 박지원)은 전력거래소(KPX) 본사 사옥(전라남도 나주 빛가람동)에 설치되는 에너지저장장치(이하 ESS, Energy Storage System) 주기기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16일 밝힘. 지난 9월 ESS 사업에 진출하면서 첫 공급 계약을 맺은 데 이어 두 달 만에 거둔 성과이다. 두산중공업은 올해 말까지 주관사업자인 ㈜태경전기산업에 배터리와 전력변환장치 등을 포함해 KPX용 2.4MWh급 ESS 주기기를 납품할 예정임. 국내에 설치된 단일 건물 ESS 중 최대 용량이다. ESS는 전력 사용량이 적은 시기에 전기를 저장장치에 비축해뒀다가 많은 양의 전력이 필요할 때 원활히 공급되도록 해 전력 효율을 높이는 시스템임. 두산중공업은 9월 초 한국스마트그리드사업단이주관하는 ‘2015 스마트그리드 보급 지원사업’의 ESS 분야 주관사업자로 선정됐으며 첫 성과로 파이프∙벤딩 전문기업 ㈜광진엔지어니링과 ESS 설비 공급 계약을 맺은 바 있다. 두산중공업 송용진 전략기
현대重 직원들 농촌 찾아 사과 수확 도와 직무연합서클 봉사단 200명, 밀양시 동명마을서 사과 수확 봉사 매년 봄 을 농번기에 농촌마을 찾아 일손 거들어 현대중공업 자원봉사단이 농촌 마을을 찾아 가을걷이를 거들었다. 현대중공업 직무연합서클 봉사단 소속 200명은 15일(일) 경상남도 밀양시 산내면 남명리 동명마을을 찾아 30여 가구의 사과 수확을 도왔다.(사진:현대중공업 직원들과 가족들로 구성된 봉사단이 사과를 수확하며 농가의 부족한 일손을 보태고 있다.) 이들은 현대중공업이 동명마을과 자매결연을 맺은 1995년 이후 매년 봄과 가을 농번기에 일손을 보태고 있으며, 지난 5월에도 동명마을을 찾아 사과나무 가지치기와 사과 꽃의 인공수분(受粉)을 도운 바 있다. 이날 봉사활동에 참가한 현대중공업 강외철 기장(55세)은 “지난 봄 수분을 거들었던 사과가 탐스럽게 익은 것을 보니 뿌듯한 마음”이라며, “우리들의 작은 노력이 마을 주민들에게 도움이 되면 좋겠다”고 말했다. 현대중공업은 밀양 외에도 울산 동구 주전동과 울주군 언양읍 거리, 경북 경주시 진리 등 총 4곳의 농촌마을과 자매결연을 맺고, 매년 봄‧가을 일손이 많이 필요한 시기에 농사일을 돕
현대重 사우디 아람코와 전략적 협력 MOU 체결 11월 11일(수) 사우디 현지에서 MOU 체결 행사 가져 조선, 엔진, 플랜트, 정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 추진키로 지난 4월 사우디 석유자원부 장관 및 아람코 경영진 울산 방문 시 협력 제안 받아 정기선 기획실 총괄부문장이 별도 TF팀을 꾸려 직접 추진, 현대중공업그룹을 대표하여 MOU에도 직접 서명 사우디 국영 석유회사와의 협력관계 구축으로 현대중공업 재도약의 전환점 될 것 현대중공업이 사우디아라비아 아람코와 전략적 협력관계 구축을 주 내용으로 하는 MOU를 체결했다. 현대중공업은 11월 11일(수) 사우디 현지에서 정기선 기획실 총괄부문장, 조선사업 김정환 대표, 플랜트사업 박철호 대표 등이 참석한 가운데 사우디 아람코와 포괄적인 전략적 협력관계 구축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사우디 아람코는 세계 원유생산량의 15%를 공급하는 세계최대 사우디 국영 석유회사로, 석유운송, 해양, 플랜트 등 주요 기간산업에 막대한 영향력을 끼치고 있다. 이번 서명식에는 알 나세르(Al Nasser) 사장 등 최고경영진이 직접 참석했다. 전략적 협력을 위한 논의는 지난 3월 알 팔리(Al F
나이지리아 연수생들 땡큐 현대중공업 10일(화), 현대重 LNG선 명명식서 18개월간 기술 연수 마무리 나이지리아 연수생 70여명, 지난해 5월부터 자국 LNG선 건조에 참여 생산•설계•품질•안전관리 교육 등 선박 건조 기술 습득 한국의 선박 기술을 배운 나이지리아 기술 연수생 70여명이 고국으로 돌아가며, 현대중공업에 감사 인사를 전했다. 나이지리아 연수생들은 지난 10일(화) 현대중공업 울산 본사에서 열린 나이지리아 BGT사의 17만7천 입방미터(㎡)급 LNG운반선 2척에 대한 명명식을 끝으로, 지난해 5월부터 시작된 18개월간의 기술 연수를 마쳤다. 이날 명명식에는 5명의 나이지리아 기술 연수생들이 대표로 참석해, 그동안 기술을 전수해 준 현대중공업에 고마움을 표시했다. 현대중공업은 지난 2013년 1월 BGT사로부터 LNG선 2척을 수주하며 선박 건조 기술을 전수하기로 하고 교육을 진행해왔다. 나이지리아 연수생 58여명은 지난해 5월부터 약 2개월간 현대중공업 기술교육원에서 용접, 기계의장, 전기, 도장 등 선박 관련 생산기술을 배웠으며, 이 가운데 기량 우수자 28명은 자국 LNG운반선의 건조 작업에 직접 투입됐다.
대우조선해양 세계 최초 쇄빙 LNG선 건조 이상無 선주 선급 참여한 가운데 쇄빙LNG선 관련 충격 시험 완료 실물 크기 구조물 이용한 최초 사례 지상 2m에서 떨어진 7톤 무게 충격에도 블록 균열 발생 없어 대우조선해양(www.dsme.co.kr 대표이사 정성립)이 지난 2014년 수주한 세계 최초 쇄빙LNG운반선이 순조롭게 건조되고 있다. 대우조선해양은 쇄빙LNG운반선의 내구성(강성)을 평가하는 충격 시험(Impact test)을 성공리에 완료했다고 9일 밝혔다. (사진 : 대우조선해양이 10월부터 실시한 쇄빙 LNG선 충격시험(Impact Test) 모습) 10월 초부터 약 3주간에 거쳐 진행된 시험은 쇄빙 LNG운반선 실물과 동일한 구조 및 크기(Full scale)의 블록을 제작한 뒤, 강한 충격을 가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정확한 시험 및 평가를 위해 실물과 동일한 크기의 모형을 제작한 조선업의 첫 사례다. 두께 2m를 넘는 얼음이 선박에 가하는 충격을 구현한 각각 1 톤, 7 톤 무게의 강철 추를 다양한 높이(1톤 : 5~7m, 7톤 : 1~2m)에서 떨어뜨린 결과, 용접 부위에서 균열이 발생하지 않아 선박 내구성이 입증됐다. 시험에는 선주, 용선
두산重 올 수주 10조원대 돌파 청신호 삼척 포스파워 화력발전소 주기기 우선협상자 선정 등 국내 1000MW급 시장 호조 베트남, 인도 등 해외 추가 수주 기대 두산중공업(대표이사 부회장 박지원)이 국내 1000MW급 화력발전소 주기기 수주 호조에 힘입어 2011년 이후 4년 만에 수주 10조 원(두산중공업 및 해외자회사 기준)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두산중공업은 9일 1000MW급 강원 삼척 포스파워 화력발전소에 들어가는 보일러, 터빈 등 주기기 공급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되었으며, 같은 날 중부발전과 1000MW급 신서천 화력발전소 터빈 공급계약을 1044억 원에 체결했다고 10일 밝혔다. 두산중공업은 또 지난해 1000MW급 신삼천포 화력발전소 주기기 공급 우선협상자로 선정되어 협상을 진행 중에 있음. 두산중공업은 이들 1000MW급 프로젝트의 연내 수주가 가능하고 그 규모는 1조5000억 원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두산중공업은 올 상반기에 베트남 송하우 화력발전소, 강릉 안인화력 발전소, 신고리 원자력발전소 건설공사 등 4조원 가까운 수주를 올렸고, 하반기에도 인도 하두아간즈 화력발전 프로젝트, 서남해상풍력 등을 수주한 바 있다. 여
현대重 국내 최초 지하 광산용 휠로더 개발 저차체, 저진동 등 광산 작업에 최적화 설계…해외 특수장비 시장 공략 하부 보호장치, 후방 범퍼, 특수 버킷 등 안전성•내구성 강화 현대중공업이 국내 최초로 지하 광산용 대형 휠로더를 개발하고, 해외 특수장비 시장 공략에 나선다.<사진:현대중공업이 개발한 340마력급 지하 광산용 대형 휠로더(HL780-9S UM)> 현대중공업은 최근 340마력급 지하 광산용 휠로더(모델명: HL780-9S UM)를 개발하고, 11월부터 해외 시장에서 판매에 들어갔다고 3일(화) 밝혔다. 이 휠로더는 낮은 갱도(坑道)를 통과할 수 있도록 차체 높이(전고)를 자사 일반 휠로더(HL-780-9S)보다 약 70㎝ 낮추고, 차량의 진동을 줄이는 승차 제어(Ride Control) 기능을 강화하는 등 광산 작업에 최적화시켜 설계했으며, 안전성과 내구성이 강화된 것이 특징이다. 특히 광석 등에 손상되기 쉬운 휠로더 하부에는 변속기 및 엔진오일 팬 가드(Guard)를 비롯해 후방 범퍼(Bumper), 하부 가드, 사이드 커버 등 각종 보호장치들을 장착했다.또 고강성의 특수 버킷(Spade Nose Bucket, 삽머리처럼
대우조선해양 2015 올해의 10대 기계기술 수상 전 세계 용접기술의 숙원사업 ‘수평용접 자동화’ 실현한 『대용착 수평자세 자동용접기』 10대 기계기술 선정 대우조선해양(www.dsme.co.kr 대표이사 정성립)이 2년 연속 ‘올해의 10대 기계기술’을 수상했다. 대우조선해양은 회사가 개발한 『대용착 수평자세 자동용접기』가 ‘2015 올해의 10대 기계기술’에 선정됐다고 29일 밝혔다. 올해의 10대 기계기술은 한국기계기술단체총연합회가 국내에서 개발된 기계분야 우수 기술을 대외에 알리기 위해 2013년 제정한 상이다. 대우조선해양 중앙연구원은 천연가스 추진 선박의 핵심 기술인 ‘LNG 연료공급시스템’으로 지난해 같은 상을 수상한 바 있다. 대우조선해양의 대용착 수평자세 자동용접기는 전 세계 조선소의 숙원이었던 수평용접 자동화를 실현한 기술이다. 수평용접은 선체 내부 바닥으로부터 10~45cm 높이에 있는 이음부를 10~15회 용접하는 열악한 작업으로, 용접생산성 향상은 불가능할 것으로 여겨져 왔다. 이에 대우조선해양은 2012년 초부터 중앙연구원 산업기술연구소를 주축으로 혁신TFT를 구성, 역발상을 통해 용접생산성 향상을 이뤄냈다. 기존 내부에서 하던 용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