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산부, 수산업 기후변화 대응 위한 첫 권역별 포럼 개최
전남에서 수산·양식 분야 정책 발굴… 어업인 의견 적극 반영
해양수산부(장관 강도형)는 2월 27일 전라남도 해양바이오공동협력연구소에서 첫 번째 권역별 기후변화 포럼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포럼은 수산·양식 분야의 기후변화 대응 방안을 논의하고, 신규 사업 및 정책 아이디어를 발굴하기 위해 마련됐다.
해양수산부는 지난해 12월 ‘수산·양식 분야 기후변화 대응 종합계획’을 수립했으며, 올해는 지역별·어종별 분석을 바탕으로 후속 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2월부터 4월까지 전국 6개 권역에서 포럼을 순차적으로 개최하며, 각 지역의 어업 현장 의견을 적극 반영할 방침이다.
전라남도는 우리나라 수산업의 중심지로, 전국 수산물 생산량의 58.8%(약 190만 톤), 양식 수산물 생산량의 76%(약 173만 톤)를 차지하는 최대 생산 지역이다. 그러나 기후변화로 인한 수온 상승, 어종 변화, 양식 단가 상승 등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고 있어 대응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포럼에서는 ‘수산·양식 분야 기후변화 대응 종합계획’ 공유, 지방자치단체의 수산 분야 기후변화 영향 분석 발표, 어업인-전문가 간 토론, 청년·귀어인 의견 수렴, 어선사고 예방 안전 교육 등이 진행될 예정이다. 또한, 기후변화 피해가 심각했던 어업 현장을 직접 방문해 어업인의 의견을 청취하고, 실질적인 정책 마련을 위한 논의를 진행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낚시어선 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 점검도 병행한다. 최현호 어업자원정책관은 2월 28일 전라남도 완도항에서 낚시어선에 직접 승선해 구명조끼, 통신기기, 승선자 명부 작성, 출입항 신고 절차 등 안전설비 및 관리 이행 현황을 점검할 예정이다.
최현호 어업자원정책관은 “기후변화로 인해 어업인이 겪고 있는 어려움을 깊이 이해하고 있으며, 지역·어종별 특성을 고려한 후속 대책을 신속히 마련하겠다”며 “권역별 포럼을 통해 현장의 다양한 의견이 공유될 수 있도록 지방자치단체, 어업인, 수산 전문가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번 포럼은 제주(3월), 충남·전북(3월), 강원·경북·울산(3월), 경기·인천(4월), 부산·경남(4월) 순으로 총 6개 권역에서 진행될 예정이며, 수산업의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실질적인 정책 방향을 논의하는 장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