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양항 해양산업클러스터 부두에서 국내 최초 연료전지 탄소포집 기술 개발
여수광양항만공사(사장 박성현, 이하 공사)는 광양항 해양산업클러스터에서 국내 최초로 PAFC(인산형 연료전지)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 포집 기술 개발에 성공하고, 이를 기념하는 시연회를 개최했다고 13일 밝혔다.

한국수력원자력(이하 한수원)은 이번 시연회에서 이산화탄소를 90% 이상 포집할 수 있는 기술을 선보였다. 기존 연료전지 발전소에 이 기술을 적용하면 연료전지 발전소를 친환경 발전소로 전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시연회에는 여수광양항만공사, 한국수력원자력, 광양시, 두산퓨얼셀, 에어레인, 한국종합기술 등 관련 지자체 및 기관·기업들이 참여했다. 한수원은 2023년 3월 여수광양항만공사 및 광양시와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연료전지 발전사업 협력을 약속한 바 있으며, 이를 계기로 탄소중립항만 전략에 부합하는 광양항 연료전지 발전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탄소포집 기술 개발은 2023년 9월 한수원 주관으로 두산퓨얼셀(연료전지 설계변경), 에어레인(분리막 포집기술), 한국종합기술(설치공사)이 공동으로 참여해 시작됐으며, 오는 5월까지 20개월간 진행된다.
지난해 12월 광양항 해양산업클러스터 부두에 연료전지(1대) 및 분리막 포집설비(1대)를 설치했으며, 현재 PAFC 연료전지를 출력 100%까지 운전하면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를 분리막 포집설비로 포집하는 실증 운전을 진행 중이다.
박성현 공사 사장은 “민관 협력을 통해 해양산업클러스터 입주 기업이 국내 최초 연료전지 탄소포집 기술을 개발하게 되어 뜻깊다”며 “이를 기반으로 광양항의 탄소중립 항만 구현에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앞으로도 한국수력원자력과 다양한 협력 비즈니스 모델을 검토하며 탄소중립 항만 실현을 위해 지속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