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또 럼 당 서기장, 부산항 신항 방문…스마트 항만 기술 벤치마킹

부산항이 아세안 핵심국가와의 물류 협력 거점으로서 위상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 부산항만공사(BPA)는 13일, 베트남의 최고 지도자인 또 럼(To Lam) 공산당 서기장이 부산항 신항 7부두(동원글로벌터미널부산, DGT)를 방문했다고 밝혔다.
이번 방문은 또 럼 서기장이 항만 인프라와 운영 체계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자국 항만 개발에 부산항의 스마트 운영 모델을 벤치마킹하기 위해 추진됐다. 또 럼 서기장은 공안부 장관을 비롯한 고위급 대표단 60여 명과 함께 부산항을 찾았다.
대표단은 국내 최초 완전 자동화터미널로 운영되는 DGT의 운영 현황과 스마트 항만 기술을 직접 살펴보며, 부산항의 글로벌 경쟁력을 체감하는 시간을 가졌다. 특히 자동화 시스템의 실시간 운영 흐름을 현장에서 확인하며, 부산항의 효율성과 기술력에 깊은 관심을 보였다.
BPA에 따르면, 한국과 베트남은 서로의 3위 교역국으로서 연간 약 151만TEU의 컨테이너 물동량을 주고받고 있으며, 이 중 53%에 해당하는 80만TEU를 부산항이 처리하고 있다. 특히 최근 5년간 환적화물 물동량이 연평균 16.3% 증가하면서 양국 간 해상 물류 협력이 급증하고 있다. 현재 부산-베트남 간 정기항로는 총 44개에 달한다.
부산항은 2014년 베트남 총리 방문을 시작으로, 교통부 차관과 국영기업 관계자, 지방정부 고위 인사 등의 방문이 이어지며 양국 항만 분야의 교류를 지속 확대해 왔다. 또 럼 서기장의 이번 방문은 이러한 협력 흐름의 연장선에서 양국 항만 산업의 미래 협력 가능성을 확인하는 계기가 됐다.
송상근 부산항만공사 사장은 “베트남은 역동적인 성장 가능성을 가진 핵심 시장으로, 부산항과 해운·물류 분야에서 긴밀한 협력 관계를 이어가고 있다”며, “이번 방문을 계기로 베트남 주요 항만과의 기술 협력과 함께, 양국 경제 협력이 더욱 공고히 다져지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