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4 (목)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 AI 기반 행정혁신 본격화… ‘AX혁신추진단’ 출범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 AI 기반 행정혁신 본격화… ‘AX혁신추진단’ 출범
해양교통‧운항관리‧선박검사 등 전 분야 AI 도입… 연내 중장기 로드맵 마련
고위험 선박 사전 식별, 여객선 결항 예측까지… AI 기반 공공서비스 고도화 추진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KOMSA, 이사장 김준석)이 해양교통안전 행정 전반에 인공지능(AI)을 본격 도입한다. 공단은 8월 14일, AI 전환을 선도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조직인 ‘AX혁신추진단’을 공식 출범시켰다고 밝혔다. 이번 조치는 정부의 공공서비스 AI 혁신 기조에 부응하고, 기존 AI 기반 기술 도입 성과를 기반으로 공공 서비스 전반의 체계적 전환을 목표로 한다.

‘AX(Artificial Intelligence Transformation)’는 AI 기술을 활용해 조직과 업무, 서비스를 전방위적으로 혁신하는 전략을 뜻한다. 공단은 이번 추진단 출범을 통해 해양교통안전 행정의 디지털 전환에 가속도를 붙인다.

추진단은 경영전략, 해양교통, 선박검사, 연안여객선 운항관리 등 4개 분야로 구성됐다. 이사장이 단장을 맡아 전사적 실행력을 확보하고, 본부장과 현장 실무자, 외부 전문가까지 참여하는 협업 체계를 갖췄다. 매주 정기회의를 통해 분야별 과제를 발굴하고, 오는 10월까지 중장기 AI 전환 로드맵을 수립한다.

AI 기술 적용은 특히 해양교통과 연안여객선 운항관리 분야에서 먼저 가시화될 전망이다. 공단은 국내 최초로 AI가 적용된 ‘해양교통안전정보시스템(MTIS)’의 해상교통량 예측 서비스를 고도화한다. 기존 9억 건의 공공데이터 외에도 추가 빅데이터를 결합해 해양사고 위험도와 해상교통 혼잡도를 사전에 경고하는 예측 모델을 개발 중이다. 여기에 전국 항로별 기상정보와 운항이력을 기반으로 여객선 결항‧지연 가능성까지 예측하는 체계도 구축된다.

선박검사 분야에서는 고령 선주와 정보 취약계층을 위한 맞춤형 서비스를 강화한다. 챗봇 ‘해수호봇’에 선박별 안전정보 제공 기능을 탑재하고, 선체 결함 자동 감지 및 고위험 선박 사전 식별, 안전등급 자동 산정 등 정밀 진단 기술이 적용된다. 이는 선박의 안전성 확보와 검사 효율성 제고에 실질적인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AI 기반 경영진단 체계도 구축된다. 빅데이터 분석과 예측 모델을 활용해 예산 집행, 경영 성과, 위험 요소를 사전에 진단하고 자동화함으로써 행정 효율을 높이는 한편, 경영 투명성을 강화할 계획이다.

공단은 AI 전환을 통해 단순 행정기능의 개선을 넘어, 공공의 안전과 직결된 해양교통 서비스 전반의 질적 변화를 이끌겠다는 구상이다. 특히 고위험 선박 식별, 연안여객 운항 예측, 체계적 선박검사 등은 국민 안전과 직결된 과제인 만큼, AI의 실질적 효용이 높은 분야로 평가된다.

김준석 이사장은 “AI는 이제 단순한 기술 도구를 넘어 해양교통안전 행정과 기술을 혁신하는 핵심 동력”이라며 “공단은 공공성과 신뢰성을 기반으로, AI 기술이 해상 현장에서 즉시 작동하고 체감될 수 있도록 추진력을 확보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번 AI 전환 추진은 해양교통 분야에서의 디지털 역량 제고는 물론, 관련 산업 전반의 기술 발전과 연계돼 해사안전 산업 전반의 혁신을 견인할 것으로 기대된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